[뉴스비전e 신승한 기자] 올해 우리나라 전체 무역액에 3년 만에 1조달러를 다시 넘어설 것으로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5일 내놓은 '2017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아의 무역액이 지난해보다 11.5% 증가한 1조 5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연간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9.4% 늘어난 5천 420억달러, 수입액은 14.0% 증가한 4천 630억달러로 예측됐다.

< 우리나라 무역규모 추이 / 무역협회 >

무역액이 1조달러 돌파는 지난 2014년이후 3년만이다.

2015년과 2016년 '마이너스 수출'이 이어지면서 1조달러 고지를 넘지 못했지만, 올해 상반기 완연한 회복세가 나타남에 따라 무역액 1조달러 재돌파에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반기별로 살펴보면 반도체를 비롯한 정보기술(IT) 수출 증가세가 눈에 띈다.

지난 1~5월 수출은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호황, 원유 가격 상승, 신성장 산업 수출 확대, 시장 다변화 등에 힘입어 평균 16.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 상승과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1~5월 전년 동기보다 50.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올 1~4월 수출 증가율은 세계 평균(8.1%)의 2배가 넘는 17.1%에 달했고, 국가별 수출 순위도 지난해 8위에서 6위로 두 계단 뛰어 올랐다.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6년 3.1%에서 지난 1~4월 3.3%로 상승했다.

다만 하반기 수출은 다소 주춤해질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의 경기 회복과 신흥국의 수입 수요 확대 · IT 경기호조로 증가세는 계속되겠지만, 기저효과가 감소하면서 수출 증가율이 4.6% 수준으로 상반기보다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액이 연간 30%대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등도 새롭게 증설한 설비 가동 등으로 하반기에도 수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선박은 유가 상승세 둔화로 인한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 가능성, 디스플레이·가전은 해외 생산 확대, 자동차부품·무선통신기기는 경쟁심화 등으로 하반기엔 마이너스 증가율이 예상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수출과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수출 호조세가 더욱 확대되면 일자리 창출에도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