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오사카에 본사를 둔 파나소닉 홀딩스가 수익성 향상과 비성장 사업 정리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1만 명의 일자리를 감축하겠다고 5월 9일 발표했다. 이번 구조조정은 2025년 3월까지인 현재 회계연도 내에 시행될 예정이며, 일본 국내 직원 5,000명과 해외 자회사 직원 5,000명이 대상이다.
파나소닉은 이번 감원과 함께 약 1,300억 엔(한화 약 1조1,700억 원, 싱가포르 달러 기준 약 11억6,200만 달러)의 구조조정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효율적인 경영 구조를 갖추기 위한 대대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현재 파나소닉은 전 세계적으로 약 22만8천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테슬라(Tesla)의 배터리 공급업체로도 잘 알려져 있다. 회사는 지난 2월, 오는 2029년 3월까지 10% 이상의 주식 수익률을 달성하겠다는 장기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성장이 정체된 산업 장비, 텔레비전 등 일부 사업 부문을 축소하고, 운영 효율화를 통해 인공지능(AI) 중심의 미래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할 계획이다.
한편, 싱가포르 지사에 대한 영향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싱가포르 일간지 《연합조보》는 파나소닉 현지 지사에 문의한 결과, 이번 구조조정이 싱가포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번 감원 계획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전자업계 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과 성장을 동시에 꾀하려는 파나소닉의 전략적 전환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 EU, 트럼프 관세에 맞서 아시아와 자유무역 협상 가속화
- 사천금융지주그룹과 한중지역경제협회 협력의향서 체결... 민간 금융 교류 기반 조성
- (사)식문화세계교류협회 K-Food 정성 담아, 외국유학생 마음 물들이다
- 비트코인, 무역 협정 호재에 10만 달러 돌파…투자자 위험 선호 회복
-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각형 배터리로 사업 부진 돌파 나서 ‘美 애리조나 설비 장비 선정 완료’
- 인도네시아, 전세계 제2위의 배터리 생산국이 될 것
- 중국 전기차용 배터리, 세계 점유율 63.5%로 1위
- 일본 기업,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 공유... '새로운 조직' 만든다
- 일본 기업, 설비투자액 대폭 늘려... 전년 대비 16.9% 증가
- 북미 무역 협정, 외국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켜
- 日오사카, 카지노 복합리조트 조성
- 파나소닉, 중국 투자 가속화... 3년간 500억엔 투입 예정
- LG엔솔, 리튬 소재 중국 의존도 신속 탈피... 캐나다産 리튬으로 미국 인플레법 대응
- LG엔솔,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 [중국망] 미국과 일본, 중국에 대항 위해 상업 중심 외교 추구
- [월드e] 중국 경제 성장에 국제 기업들 관심 높아져
- 일본 파나소닉, 미국서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립
- 파나소닉홀딩스, 미국에 EV배터리 공장 확장 예정
- [비전ON]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일본 가전제품 품귀현상 심화
- 파나소닉, EV 배터리 플랜트에서 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
- 日 파나소닉, ‘메타버스’ 진출 선언
- 日 도요타, 전기차에 올인하나
- 日 로손, 2025년까지 中에 편의점 1만 개 오픈 계획
- 테슬라, 2분기 영업이익 42% 급감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