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항공 장비, 반도체, 의약품 등을 포함한 일부 미국 수출 품목에 대해 125% 추가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했다. 외국 기업들은 최근 중국 당국으로부터 이러한 면제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항공 장비 제조업체 사이펑 그룹의 최고경영자(CEO) 안드레일은 4월 25일(금요일) 기자회견에서 "전날 밤 통지를 받았다"며, "중국이 엔진, 착륙 장치를 포함한 여러 항공 장비 부품에 대해 관세 면제를 제공했다"고 전했다. 이번 면세 조치의 유효 기간은 90일이다.
중국 주재 미국 상공회의소 총재 마이클 하트 또한 이날 질의응답 세션에서 "주로 제약 분야에서 일부 품목이 추가 관세 면제를 받을 수 있으며, 전체 산업이 아닌 특정 의약품에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업계에서도 유사한 소식이 전해졌다. 한 메모리 반도체 설계 회사 관계자는 "중국 반도체 산업 협회로부터 아날로그 웨이퍼를 포함한 8가지 종류의 수입 미세 웨이퍼에 대해 추가 관세를 면제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다만 메모리 웨이퍼는 이번 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상무부가 전담팀을 구성해 각 기업에 면세 대상 품목 목록을 문의하고 있으며, 기업이 자체적으로 면세 신청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4월 25일, 해당 면세 품목 목록은 중국 소셜 플랫폼과 기업, 상공회의소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됐다. 목록에는 백신, 화학제품, 제트 엔진, 칩 등을 포함해 총 131개 유형의 상품이 포함되어 있으며, 화타이증권은 이 상품들의 지난해 미국의 대중국 수출액이 약 450억 달러(약 591억 싱가포르 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4월 23일 외자 기업 원탁회의를 개최해, 미국의 관세 부과가 중국 내 외국인 투자 기업의 투자 및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업들과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작년 ADB 지원 수혜국 중 최상위 국은 인도
- 엘니뇨로 인한 코코아 생산 감소, 초콜릿 가격 급등 이어질 전망
- "미국 제조업 회생 장애물…中 기계·부품 의존도 극복 어려워"
- [이슈IN] 관세폭탄으로 인플레이션 급상승, 트럼프 지지율 급락
- [통상IN] 미중 관세전쟁 갈등 속, '어부지리 틈새 공략'찾아라
- 미국 무역전쟁 여파로 농산물 수출 급감…대두·돼지고기 판매 '뚝'
- 5년만에 마윈 불러낸 시진핑, 중국 기술산업 육성 의지 활활
- 한중지역경제협회, 중국 감숙성과학기술대표단과 좌담회 개최
- 트럼프 정부 고율 관세 이후 미 전자상거래 업계에 '관세 회피' 제안 급증
- 세계은행, 2025년 베트남 경제성장률 5.8% 전망…수출 회복이 견인
- [특별기고]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의 뻔뻔한 민낯!
- 보잉 CEO “중국, 무역 갈등 여파로 항공기 인도 중단”… 美-中 긴장에 항공업계도 흔들
- 미국 관세 인상 여파… 한국 화장품 브랜드, 중국 시장 공략 가속화
- 美 대중 관세, 中 장난감 산업 직격탄…
- 미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 3월 기준 12% 감소…독일 관광객 28% 급감
- 미국 내 반중 정서 완화 조짐…5년 만에 첫 하락
- 미국, 대중국 관세로 의료기기·비타민 공급 차질 우려
- 2024년 전 세계 와인 소비량, 1961년 이후 최저치 기록
- WTO, 세계 상품 무역 전망 ‘성장’에서 ‘감소’로 하향
- [시사IN] 한중일 경제협력, 대미 관세 협상 지렛대로 작용
- 애플, 인도·베트남 생산 가속... 중국 수출 통제로 공급망 이전에 난항
- 미국, 중국·홍콩 소액물품 면세 혜택 전면 종료…145% 고율 관세 부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