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샘플 납품 이후 2년만
2025년 양산 목표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퀀텀스케이프’(Quantum Scape)가 전고체 배터리 B 샘플 생산을 시작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에너지 밀도를 크게 높이면서도 폭발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극저온이나 고온 등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꿈의 배터리’로도 불린다.
지난 10월 23일 퀀텀스케이프는 2024년 3분기 사업 실적을 발표하면서 전고체 B 샘플 ‘QSE-5 B’ 소량 생산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생산된 샘플은 완성차 기업에 공급돼 전기차 탑재를 위한 테스트를 거칠 예정이다.
B 샘플은 초기 제품 개발 단계에서 제작되는 최초의 샘플인 A 샘플을 보완해 고객사에 시제품으로 공급되는 샘플이다. 최종 단계인 C 샘플까지 고도화된 뒤 양산이 결정된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 B 샘플은 21.6Wh의 전력량을 지원하며 리터당 800Wh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15분 내 배터리 용량 10%에서 80%까지 도달하는 고속 충전 기능도 갖췄다.
에너지 밀도와 비용, 배터리 수명 측면에서 이점이 있는 무음극 기술도 적용될 전망이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22년 말 24층 구조 전고체 배터리 A샘플을 완성차 기업에 공급하기 시작했고 2025년부터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겠다고 지난 2024년 3월 발표했다.
2024년 7월에는 폭스바겐의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파워코와 셀 제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폭스바게은 퀀텀스케이프 지분 17%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셀사를 비롯해 업계 주요 기업들은 꾸준히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나, 아직 상용화된 제품은 없는 상태다.
다만 CATL, 토요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등이 수 년 뒤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관련기사
- 일본 연구진, 차세대 전고체 불소 이온 배터리 개발
- 음극소재 개발사 ‘시리에너지’, 서울대기술지주서 시드 투자 유치
- 중국, 60억 위안 규모 전고체 배터리 R&D 지원금 조성
- [기고] 성공한 전북 기업인 '공통된 신조', "생각하며 살아야 꿈은 이루어진다"
- [기고] 과거 경험 살린 시니어 어르신들의 '다양한 활동'
- LG엔솔, 뮌스터 대학과 배터리 R&D 공동 연구센터 설립
- [기고] (주)정석케미칼 김용현대표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
- LG엔솔,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 혼다, 2045년 가솔린 모터사이클 생산 및 판매 중단
- [중국망] 갈수록 심해지는 리튬 광산 쟁탈전... 현재 中의 기업의 미래
- 日 야마가타대학, 안전하고 성능 더 우수한 ‘반고체’ 배터리 개발
- 집중조명 받았던 테슬라 '배터리데이', 예상과는 달랐다
- 삼성전자, 차세대 배터리 기술 '전고체전지 포럼' 개최
- EU, 독자 배터리 기술 개발 붐 업...기업간 경쟁으로 확산
- 신규 전기차 모델의 각축장 독일...글로벌 완성차·부품업계, 시장 대응에 박차
- "차세대 전지 개발 타이밍 놓치면, 경쟁 우위 지속가능성 불투명" - LG경제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