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사무소 확장 및 현지인력 채용 예정

지난 12월 6일 글로벌 양자 및 양자 기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멀티버스 컴퓨팅(Multiverse Computing)이 이탈리아 시장 확장을 위한 새로운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이탈리아 최대 벤처 캐피털 투자사인 CDP 벤처 캐피털(CDP Venture Capital Sgr)이 주도했으며, 멀티버스 컴퓨팅의 시리즈A 라운드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투자는 CDP 벤처 캐피털이 운용하는 ‘코퍼레이트 파트너스 I’(Corporate Partners I) 펀드의 서비스테크(ServiceTech)와 에너지테크(EnergyTech) 섹션을 통해 이루어졌다.
해당 펀드는 베이커 휴즈(Baker Hughes), 비앤엘 비엔피파리바(BNL BNP Paribas), 에디슨(Edison) 등 이탈리아 주요 기업들이 출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멀티버스 컴퓨팅은 시리즈A를 통해 유치한 투자금은 밀라노 사무소를 확장과 공공 및 민간 부문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현지 인재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유럽 고성능 컴퓨팅 공동사업(EuroHPC) 및 이탈리아 볼로냐의 시네카 데이터센터(CINECA Datacenter)에 위치한 레오나르도 슈퍼컴퓨터와의 협력 프로젝트를 더욱 발전시킬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멀티버스 컴퓨팅의 압축 AI 모델인 ‘컴팩티파이’(Compactif AI)를 레오나르도 슈퍼컴퓨터에 최적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멀티버스 컴퓨팅은 GPU 노드 시간을 할당받아 최첨단 대형 언어 모델(LLM)인 LlaMA 계열 모델과의 성능 비교를 진행 중이다.
대형 언어 모델의 텐서 네트워크 압축 기법을 시험하고, 기존 모델 대비 효율성과 성능 향상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로, 멀티버스 컴퓨팅은 양자 컴퓨팅 기술과 AI를 결합한 독창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통해 금융, 에너지,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혁신을 제공하고 있다.
멀티버스 컴퓨팅은 양자 AI 기술을 활용하여 복잡한 금융 시장 예측, 에너지 효율성 최적화, 질병 진단 및 치료 개선 등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이탈리아 시장 확장을 통해 멀티버스 컴퓨팅은 유럽 전역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 [비전 인사이트] 美대통령, 누가 당선되어도 대중 견제 더욱 고삐죈다.
- 상지대 최기일 교수, 국방 활용 양자컴퓨팅 기술 강연
- 영국 제조업 10위권 추락 英정부 경종
- [비전 인사이트] '미래 성장동력'을 얻으려면 "국가 R&D예산 증액과 과학자 우대 정책" 절실
- 中 글로벌 디지털 경제 대회 개최... 국제적 파트너십 구축시도
- 마이크론, 인도에 대규모 투자 예정... 반도체 협력
- 미-인도 핵심·신기술 동맹 관계 가동...'미-인 이니셔티브' 공식 추진
- [불꽃 튀는 큐비트 경쟁②] 퀀텀 비트 뛰어 넘어 양자상태 지속시간도 1년새 두배 증가
- [불꽃 튀는 큐비트 경쟁①] 우수한 성능 이면의 예민함을 해결하라
- [이슈 분석] 블록체인, '무어의 법칙' 不성립 이유
- [이슈 분석] 삼성도 참여한 IBM 양자컴퓨팅 생태계... 어떤 전망 나오나?
- [기획 ③] 4차산업혁명 시대의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오는 '생활 혁명'
- [기획 ②] 4차산업혁명 시대의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오는 '농업 혁명'
- AI 기술 개발 나선 중국 기업들... 알리바바 · 바이두 · 텐센트, "늦은 시간만큼 투자·제휴 확대한다"
- [4차산업 글로벌 기획 ②] 중국, 인터넷플러스 3개년 계획 발표 ·싱가포르, GDP 1%규모 R&D로 투자
- [취재後] 리더가 본 AI시대 변화와 과제
- [4차산업의 핵심 아이콘] 슈밥 WEF 회장이 제시한 10대 선도기술...정현용 마크로젠 대표 "첫걸음은 제도 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