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은 미래의 성장동력이다.
그래서 국가나 글로벌 대기업은 얼마나 R&D(연구·개발) 예산에 많이 투입하는지 여부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반증한다.
삼성전자의 수출실적과 삼성전자가 대한민국 국가경제에 끼치는 기여도는 가히 천문학적이다.
연간 대한민국 총수출액 6900억 달라 중 20% 가까이나 되는1250억 달러에 달한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패권을 쥐고있는 삼성전자는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 1위를 꾸준히기록중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SDS 등 세계적 전자 계열사까지 소유하며 대한민국을 먹여살리고있는 생명줄과 같은 존재가 우리의 자랑스런 삼성이다.
그런데 최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술 수준이 1위 미국을 100%로 했을 때 81.5%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직전 2020년 조사 당시 80.1%에서 다소 상승했지만, 중국이 2년 만에 2.6%포인트 상승한 82.6%를 기록하면서 중국에 역전당했다.
중국 기술 수준이 한국을 따라잡은 것은 2012년 조사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인공지능(AI)·양자컴퓨팅 등 핵심전략기술 분야에서 약진하면서 세계 1위인 미국과의 격차도 2020년 3.3년에서 2022년에는 3년으로 줄였다.
반면, 우리나라는 2차전지 분야에서만 1위였고, 우주항공·해양 분야를 포함한 전체 과학기술 수준은 조사대상 5개국(한국·미국·일본·중국·유럽연합(EU))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결국 국가 경쟁력이 약해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래 먹거리를 만들려면 첨단기술 확보가 시급한 형국이다.
과학자를 우대하는 정책과 국가적인 차원에서 생산적인 R&D예산을 증액시키는 과단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 비야디, 멕시코 공장 건설 장소 물색 중
- 태국, 레저용 대마 금지법 연말 입법 추진... 단 의료용 대마는 계속 허용
- 베트남, 글로벌 캐슈넛 공급망 재편 모색
- [비전 인사이트] '초 격차 기술 선도국' 위해 R&D 예산 확충과 ‘똑똑한 실패’ 용인 분위기 조성
- 앵커노드,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 “AI 게이밍 솔루션 도전장”
- 삼성전자 내년에도 '톱5'브랜드 지킬까?... '세계 최고직장 1위' 자리 내줘
- 삼성전자, 내년 1월 라스베이거스 CES서 '모두를 위한 AI 전략' 공개
- EU, 2030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생산 점유율 20% 달성 목표
- MZ세대 인기 끄는 삼성 ‘마이 하우스’…누적 방문 회수 400만 명 돌파
- 양자기반 인공지능 플랫폼 ‘멀티버스 컴퓨팅’, 이탈리아 VC ‘CDP’로부터 투자 유치
- 독일 윌리히 슈퍼컴퓨팅 센터, 파스칼(Pasqal)로부터 100큐빗 양자컴퓨터를 도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0개교 신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