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가 환경 보호를 위해 모든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니프 파이솔 누로픽 인도네시아 환경장관은 10월 31일 자카르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15년부터 인도네시아는 이미 분류된 각종 플라스틱 폐기물을 포함한 모든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을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금지 조치는 인도네시아가 쓰레기 관리에 겪고 있는 어려움과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하니프 장관은 기자들에게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 금지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법 집행 노력을 통해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수입업자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국립폐기물관리정보시스템(SIPSN)에 따르면, 2023년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3,820만 톤의 폐기물 중 38.25%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방치된 상황이다.
폐기물 유형별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39.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이 그 뒤를 이어 19.21%를 차지하고 있다.
하니프 장관은 이번 조치가 인도네시아의 환경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더 나아가 인도네시아가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환경 보호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관련기사
- 베트남 제조업, 제3호 태풍 '염소' 영향 회복…생산 능력과 신규 주문 모두 반등
- [비전 인사이트] 북한의 '위험한 도박'에 경계심 갖고 한미 군사동맹 강화해야
- 인도네시아 무역 흑자, 52개월 연속 증가
- 사우디아라비아-필리핀, 첫 에너지 협력협정 체결…지속 가능한 미래 위한 협력 강화
- [기고] '누란지위(累卵之危)'의 전북현대에게 "욕속부달 욕교반졸(欲速不達 欲巧反拙)" 강조
- 태국, 인도의 쌀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에 긴장… 치열해지는 글로벌 쌀 시장 경쟁
- 비철금속 가격 상승세 꺾여…2025년 공급 과잉 전망
- [비전 인사이트] '브릭스 정상회의'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국제 쌀값 폭락,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 인도 수출 규제 완화 영향
- 베트남 후추 수출, 10월 중순까지 10억 달러 돌파…미국이 주요 시장
- 인도네시아, 5년 내 1500만 채 주택 건설 목표…빈곤층 주거 환경 개선 나선다
- 유엔, 전 세계적으로 1억 2200만 명 이상 '기아 직면'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2024년 9월 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투자 감소 추세
- 부산인도네시아센터, 인도네시아 정부 할랄청 '공식 할랄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아
- [비전 인사이트] 세계는 무역전쟁에서 나아가 '관세전쟁'으로 확대
- 일-아세안 탈탄소 협력 강화
- [비전 인사이트] 中 테무 저가공습에 떨고 있는 인도네시아, 규제 칼 빼든다
- 인도네시아 25년 만에 최악의 디플레이션
- 인도네시아 6개 새로운 경제특구 설립
- 동남아에 설립한 중국 태양광 모듈 '공장 폐쇄' 가속
- 인도네시아, CPTPP가 수출시장 확대 도움 희망
- 인도네시아, 영국과 광산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 인도네시아,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42% 목표…에너지 전환 가속화
- 인도의 은 수입량이 크게 증가
- 인도네시아, 2025~2029년 8057억 달러 투자 유치 전망
- 스틱인베스트먼트, 동남아 유니콘기업 ‘그랩’애 2억 달러 투자
여불휘 기자
bh.Yeo@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