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처음으로 증가해 66만9900 명
지난해 대학 졸업자의 1.9%가 R&D분야에 취업

13일 러시아 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2022년 러시아 과학연구인력은 최근 몇 년간 처음으로 증가해 66만9900 명이며, 전년 동기 대비 7200명, 즉 1.1% 증가했다.
러시아 고등경제대학의 통계연구와 지식경제연구소의 데이터에 따르면 다양한 과학 연구자의 수가 증가했다.
연구원은 0.2% 증가한 34만700 명, 기술 인력은 1.5% 증가한 6만1400 명, 보조 인력 및 기타 인력은 2.2% 증가한 각각 15만4800 명 및 11만3100명에 달했다. 하지만 2010년 73만6500 명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러시아는 지난 1년 동안의 활발한 성장으로 인해 연간 73만7000 명으로 과학 연구 분야 종사자 수의 전체 시간 당량에서 세계 5위권 내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이 571만6000 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241만5000 명), 일본(94만2000 명), 독일(75만4000 명)이 뒤를 이었다.
이 연구소는 2022년에도 러시아 과학자들의 젊은 층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30세 미만 학자는 전년 대비 1%, 30~39세는 0.1%, 40~49세는 4.8%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과학 연구가 점점 더 젊은이들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해 대학 졸업자의 1.9%가 R&D분야에 취업했다.
관련기사
- 유니세프, 남아시아 3억 여명 어린이 "물부족 상황에 직면"
- 호주, 경제 경쟁력 급락... 2004년 1위에서 20위로 하락
- 에스티팜, mRNA백신 ‘STP2104’ 임상1상 중간 결과 발표
- [월드e] 필리핀 법원, 마약 사건 30만 건 조사
- 몽골, 통일된 국제 결제 네트워크 도입 과제 제기
- 중국의 '신흥 산업' 부상으로 민간 대기업 취업 인기
- KBS1 라디오 K-방산 심층진단, 최기일 상지대 교수 출연
- 상지대 최기일 교수, 국내외 무인체계 기술 강연
- [역사 탐방]청산리 독립운동 전투와 이스라엘의 전쟁 응집력
- 짐바브웨 부교수, 브릭스 신개발은행의 유연한 대출 조건 강조
- [기고] 노벨 문학상 수상의 랑보(郎報)
- 유엔 기구, 세계 혁신 지수 순위 발표
- 인도, 쌀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
- 유럽 탈공업화, 장기적인 불황을 초래할 것
- 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 튀르키예, 에너지 안보를 강화 위해... 아프리카 영향력 확대 모색
- 재외동포협력센터, CIS 한국어교사 초청연수 수료식 개최
- 세계경제포럼, 미래 성장산업에 촛점... 가능성이 있는 신생 기업 중점적 소개
- [기고] 타산지석의 교훈
- [역사 탐구] 잉카 제국 몰락과 원인
- 영국, 브렉시트로 수출 연간 1000억 파운드 손실
- [기고] '공짜 천국'의 대한민국을 바로잡아야!
- [기고] 타산지석의 링컨·스워드 정치교훈
- KTV 특집 K방산 다큐, 최기일 상지대 교수 출연
- [기고] 타산지석의 벤치마킹 교훈
- 경상북도 '국제메타버스 영화제' 교류단, 카바르 통신사와 합동 기자회견
유정우
seeyou@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