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 재무장관 베센트는 7월 3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약 100개국이 오는 8월 1일부터 최소 10% 이상의 대등 관세(equal tariffs)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초 발표했던 123개국보다 축소된 수치다. 다만, 베센트 장관은 현재 다수의 국가들과 협상이 진행 중이며, 7월 9일 유예 기한 만료 전까지 추가 무역 합의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발표한 고율 관세의 집행을 90일간 유예하며 협상의 여지를 남긴 바 있다. 이 유예 기간은 7월 9일 만료되며, 이후 관세가 대폭 인상될 수 있다. 트럼프는 이날 기자들과의 회견에서 “우리는 이미 10~12개 국가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했으며, 이들 국가들은 7월 9일까지 모두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각국이 8월 1일부터 정해진 관세를 납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구체적인 국가명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어떤 제품에 어떤 세율이 적용될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다만 “관세율은 1020%일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6070%까지 오를 수도 있다”며, 상대국의 태도에 따라 협상 여지를 남겼다.

미국은 이미 베트남, 중국, 영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으며, 베트남과의 합의에서는 원래 46%로 예정되어 있던 관세를 20%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이는 미국이 4월 이후 공개한 세 번째 주요 무역 합의다. 베센트 장관은 향후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도 ‘합의 임박’ 상태라고 언급했으나, 일본과 한국은 여전히 교착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

한국 무역부 장관은 7월 4일 미국을 방문해 관세 문제와 관련한 협상을 시작했다. 그는 “기한 연장을 요구할지는 협상 진행 상황에 달려 있다”고 밝혀, 한국이 미국과의 합의 도출을 서두르고 있음을 시사했다.

유럽연합도 미국과의 무역 갈등 해소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공정한 협정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으며, 유럽의 이익을 지키지 못할 경우 불리한 협정도 거부할 각오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역시 “가능한 한 낮은 세율로 미국과의 포괄적이고 강력한 협정을 체결하길 희망한다”며, 관세 대신 자유로운 시장 유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호주 총리 앨버니지는 미국이 자국 수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면제받기 위한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최근 중동에서의 긴장 고조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조기 이탈한 바 있으며, 이로 인해 호주와의 양자 회담도 무산된 상태다. 트럼프의 관세 압박 외교는 전 세계 무역 질서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주요국들은 7월 9일이라는 기한 앞에서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