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타이상업집단’ 매각으로 오프라인 유통망 정리 수순
이커머스·클라우드 등 핵심 사업에 집중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인수 7년 만에 백화점 체인 ‘인타이상업집단(인타임)’을 매각한다.
내수 부진의 여파에 알리바바가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위해 오프라인 유통업에서 손을 떼기로 결정하면서 인수 가격에 절반에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매각을 결정하게 됐다.
지난 12월 17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Alibaba)가 인타임을 중국 의류 회사 ‘야거얼 패션’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74억 위안(원화 약 1조 4,573억 원)에 인타임을 매각하면서 93억 위안(원화 약 1조 8,324억 원)의 손실을 보게 된다.
매각 절차는 중국 금융당국의 승인 절차 등을 거쳐 진행될 전망이다.
인타임을 인수하는 ‘야거얼 그룹’은 1979년 설립됐으며 중국 섬유・의류 업계의 리딩 기업이다.
지난 2017년 알리바바는 오프라인 판로 확대를 위해 ‘인타임’을 인수했다.
당시 알리바바는 인타임의 창업자 선궈쥔과 함께 26억 달러(원화 약 3조 8,000억 원)를 들여 인타임을 비상장사로 전환했다.
인타이는 1998년 첫 번째 백화점을 열고 2007년 홍콩 증시에 상장했다. 2014년 알리바바는 52억 홍콩달러를 들여 지분 28%를 확보해 인타이 백화점 2대 주주가 됐다.
이후 지분율을 74%까지 늘려 지배주주로 올라선 알리바바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을 통해 쇼핑 업계 경쟁력을 키울 것으로 평가 받았다.
하지만 오프라인 유통업의 경쟁 심화와 더불어 지속된 내수 부진의 영향 등에 따라 사업을 정리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알리바바는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이커머스와 클라우드 등 핵심사업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오프라인 소매업 매각을 추진했다.
지난 2023년 3월 알리바바는 전체 사업을 6개로 분리 재편하는 조직 변경을 단행하고 중국 온라인 판매를 제외한 사업 부문 경우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IPO를 모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핵심사업인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등을 제외한 분야의 지분 투자를 회수하거나 비주력 사업 부문을 매각하며 그룹 경쟁력을 키우는데 주력하고 있다.
관련기사
- [기고] 중국 심천박람회에서 한식을 알리다
- 세계 광고 시장, 2024년 사상 첫 1조 달러 돌파 전망
- 중국 500대 기업공개, 연 매출이 19조원 이상인 기업이 전체 50% 이상을 차지
- [기고] 中 정부, 대표적인 민간기업 알리바바 지원 공개 약속... 침체된 경기 회복차원
-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비전 인사이트]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中 타오바오, 해외직구 경쟁 가세…의류 제품 전 세계 ‘무료 배송’
- [기고] 긍정적인 마인드 견지... "스트레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 중국 전자상거래, 618 쇼핑 축제 성적 기대 넘어
- 이커머스 라자다, 알리바바의 투자로 퇴직금 문제 해결
- 중국의 '신흥 산업' 부상으로 민간 대기업 취업 인기
- 동남아 데이터센터 투자 열풍
- 다국적 이커머스 플랫폼 베트남 시장에 주목
- 엔비디아, 화웨이를 '최대 라이벌'로 경계
- AI, 노동력 20%만 대체 가능... 비용 측면에서도 '고비용'
- 틱톡, Tokopedia 15억 달러 투자…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재개
- 동남아, '등거리 외교' 정책 ... 중·미 동시 투자 유치
- 中 2023년 솽스이(雙十一)행사기간 온라인 매출 2.1%↑
- 농촌진흥청, '종자전쟁'과 "애그테크 산실"이 되어야
- 포춘 발표, 2023년 글로벌 500대 기업에 미국이 최다 재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