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에 이어 2번째
11월 11일부터 2주간 착수

지난 11월 10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주관으로 실시하는 통합규제검토서비스(IRRS)가 11월 11일부터 2주간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진행된다.
통합규제검토서비스(IRRS)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기준에 따라 IAEA 회원국에 원자력 안전규제 체계와 제도,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제안 사항을 도출해주는 서비스다.
회원국의 규제 체계가 국제적으로 논의된 기준과 잘 맞는지 검토해주고 개선할 내용 등을 권고해주는 서비스다.
IAEA는 10년마다 IRRS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2006년 시작 이후 현재까지 70여 개국이 수검 받았다.
한국은 2011년에 첫 IRRS를 받았으며 이번이 2번째 통합규제검토서비스다.
2011년은 원안위 출범 전으로, 원안위의 주도로 받는 수검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21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IRRS를 신청했고 2024년 1월 원안위 임승철 사무처장을 단장으로 100여명 규모의 수검준비단이 구성됐다.
수검준비단 21개 분야 자체평가 답변을 담은 486쪽 분량의 수검준비서를 지난 9월에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제출했다.
이번 IRRS 점검단은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로라 듀즈 제2지역본부장을 단장으로 IAEA를 비롯해 전 세계 14개국 원자력 안전 전문가 21명이 참여한다.
점검단은 국내 원자력 안전 규제 체계에 대한 서류 검토와 담당자 인터뷰와 함께 원전, 연구로,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 방사선이용시설 현장을 방문해 검토 결과를 도출한다. 이후 내년 2월까지 최종 검토보고서를 통보한다.
원안위는 이번 IRRS로 제안된 개선 사항에 대해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2~4년 후에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후속 수검을 받을지 여부에 대해서도 검토하기로 했다.
앞서 원안위는 2011년 IRRS에 대한 후속수검을 2014년 받아 우수사례 3건, 권고사항 9건, 개선사항 9건을 도출 받은 바 있다.
원안위는 원자력사업자가 안전기준을 어겼을 경우 운전정지 대신 과징금으로 갈음하지 못하도록 하라는 권고사항 1건을 제외한 모든 권고 및 개선사항에 대해 이행방안을 마련했다.
IRRS는 정책 현안에 대해 조언을 주는 시간도 제공하는데, 원안위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규제 개발과 계속운전에 대한 조언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원안위 관계자는 “IRRS 정책현안토론의 공식 안건은 한국 규제기관의 현황과 미래와 SMR 규제준비 등 두 건.”이라며 “계속운전은 공식 안건은 아닌 만큼 전반적 규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관련해 조언을 구하는 기회가 있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원안위 유국희 위원장은 “이번 IRRS는 그간 원안위가 규제체계를 향상하기 위해 추진해 온 성과를 국제적으로 평가받는 기회다.”라며 “IRRS 검토 결과를 안전규제 정책에 반영하여 한국의 안전규제 체계를 더욱 내실화하고, 원자력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이는 계기로 삼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우라늄 가격 다시 상승… 러시아 수출 제한이 원인
- 필리핀, 2032년까지 최초의 핵 발전소 가동...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도입 탐색
- 삼성그룹, 필리핀 핵 에너지 개발 진출
- 독일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 카자흐스탄 원전 건설 69.8% 찬성
- 인공지능 열풍 '원전 르네상스'
- 세븐일레븐 모기업, 부엉이식품 인수제안 거부
- 러시아 싱크탱크: 러시아와 몽골의 경제 협력 기회와 도전이 공존
-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생산계획 관련, 의문성 논란 휩싸여
- 전 세계 원전 설비 용량 최고치 경신
- [비전 인사이트] 한미 경제동맹 맺어, 원전 글로벌 표준화 시도가 바람직
- IAEA 자포로제 원전 안전상태 '악화'
- 프랑스, 제조업 재건과 해외 투자 유치 위한 '재산업화'
- 베트남과 러시아, 액화천연가스-원자력 합작 추진
- 러시아-베트남의 정상, 경제 영역 넘어 국방·안보 협력까지 확대
- 러시아, 베트남 원전 개발 돕겠다고 발표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에너지 정책, "정치적 가치 아닌 실익 우선해야” 한다.
- 브라질 한인 ADL그룹, 국내 유일 희토류 제련기업도 품었다... 국내 최대
- 중·러 기업들, 합작하여 북방 항로를 운영할 것
-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처음으로 30% 초과
- 개인정보위, ‘전자세금계산서’ 스마트빌에 개인정보 유출에 억대 과징금
- 개인정보위, NHN에 과징금 6,110만 원 부과 ‘개인정보 53만 건 유출 사고 때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