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ila Electric Co.회사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

재벌 마누엘 V. 팡길리난이 회장으로 있는 멜라코(Meralco)는 필리핀에서 핵에너지 개발을 진전시키기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대기업 삼성그룹과 협력했다.
메랄코와 삼성물산 건설(삼성물산)은 윤석열 대통령의 최근 마닐라 국빈 방문 기간 중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두 회사는 핵 기술의 기술 설계와 역량, 현재 규제 프레임워크, 에너지 환경 및 필요한 전력망 인프라에 관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당사자들은 또한 시범적 실증 프로젝트의 잠재적 배치를 포함하여 핵 에너지 개발을 위한 다른 기회도 모색할 것이다.
팡길리난은 이 전략적 거래를 통해 메랄코가 국가의 전력 생산 방식에 핵 에너지를 통합하려는 정부의 노력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 차세대 기술의 안전하고 보안적인 도입을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필리핀에서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고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성장을 달성한다는 궁극적인 목표에 계속 집중하고 있다."라고 Pangilinan은 말했다.
필리핀 에너지 계획에 따르면, 이 나라는 2032년까지 초기 1,200MW의 핵 발전 용량을 확보하고, 2035년까지는 2,400MW, 2050년까지는 4,800MW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대형 원전 건설사업과 소형 모듈형 원자로 건설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메랄코 회장의 수석 부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인 로니 아페로초(왼쪽)와 삼성물산 글로벌운영담당 사장 김정욱이 필리핀에서 원자력 에너지 프로젝트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두 회사 간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또 멜라코 회장의 전무이사 겸 COO인 로니 아페로초는 "이는 멜라코 회장이 보다 다양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돕기 위해 글로벌 지식 및 기술 파트너와 협력하려는 지속적인 노력과 잘 부합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메랄코는 한국의 두산에너빌리티와 원자력 에너지를 포함한 저탄소 발전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협정에 따라, 메랄코와 두산은 바탄 원자력 발전소의 재건을 포함하여, 해당 국가에서 원자력 발전 시설의 잠재적 배치를 모색할 예정이다.
이 거래에는 자회사의 복합 사이클 발전 프로젝트에 사용할 가스터빈을 건설하고 공급하는 내용도 포함되며, 두산은 이 프로젝트에 대한 엔지니어링, 조달 및 건설 계약자 역할을 수행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비전 인사이트] 친윤 VS 친한, 이판사판(理判事判)갈등 봉합되나?
- [역사 탐구]서울의 4대문에 얽힌 뒷 이야기들
- 호치민시 노인의 약 60%가 고혈압
- 리야드 시장, "한국 관리들과 인프라, 도시 계획에 대해 논의"
- 전 세계 원전 설비 용량 최고치 경신
- WTO, 송금 수수료 인하 요구
- 필리핀, 2032년까지 최초의 핵 발전소 가동...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도입 탐색
- 한국-필리핀 군사협력 강화 추세
- 원자력안전위원회,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통합규제검토 받는다.
- 삼성물산 SSF샵, ‘갑진년’ 맞이 프로모션 진행
- 한-필 FTA 9월 체결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