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경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주요 노동력 공급원
러시아의 중요한 대외 무역 파트너
유라시아 대륙의 주요 운송 허브
지정학적 경제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화 되어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러시아에 대한 중앙아시아의 매력은 이 지역의 지리적 전략적 위치와 빠르게 성장하는 인구와 경제력에 달려 있다. 높은 경제성장률은 해당 지역 국민의 복지수준을 높이고 내부 시장 수용력을 확대한다.

현 상황에서 러시아에 대한 중앙아시아 시장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졌다. 

모스크바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주요 경제 이익 중 노동력 이전, 대외 무역 및 투자, 운송 회랑 및 물류의 공동 개발, 산업 분야의 협력이 두드러진다.

첫째, 중앙아시아는 러시아의 경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주요 노동력 공급원이다. 이주노동자의 주요 원천은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으로 러시아로 들어오는 외국인 노동자의 거의 90%를 차지한다. 이들은 주로 건설과 주택 분야, 운수업과 서비스업 등 저임금 경제 부문에 고용됐다.

둘째, 중앙아시아는 러시아의 중요한 대외 무역 파트너이며 그 중요성이 지난 2년 동안 크게 증가했다.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의 무역·융자 규제는 러시아의 대외무역 일부를 중앙아시아 국가로 돌리게 했다. 동시에 중앙아시아 판매 시장은 모스크바에도 매우 중요하다.

러시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중앙아시아 국가에 대한 수출 구조가 다양하다.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금속 및 그 제품, 식품 및 농산물, 기계 장비 및 차량, 화학 제품의 주요 공급원이며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석유 및 석유 제품 공급원이다.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의 주요 운송 허브이기도 하며 러시아를 중국, 이란 및 기타 아시아 국가와의 운송 연결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역을 관통하는 국제운송회로는 유라시아 중부회랑, 유럽-캅카스-아시아회랑, 국제남북운송회랑(러시아-이란-인도)의 동선, 카스피해 횡단 국제운송회랑 등이 있다. 

중앙아시아를 통한 교통로를 다양화하고 카자흐스탄을 경유하는 대체 경로를 개발하는 것도 모스크바의 이익에 부합한다. 동시에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협력하여 중앙아시아를 통과하는 중국-유럽 방향의 화물 운송량을 늘리는 데 관심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에너지 협력을 강화했다.

모스크바는 유럽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잃자 카자흐스탄을 거쳐 중국·우즈베키스탄으로 가는 석유·가스 수송량을 늘렸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원전 건설에도 적극 동참해 이 지역 국가들의 에너지 안보를 높일 계획이다.

중앙아시아 국가의 급속한 경제 성장은 전통 산업의 현대화와 업그레이드를 실현하고 새로운 첨단 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많은 외국 투자를 필요로 합니다. 러시아는 이 지역의 가장 큰 투자자 중 하나다.

요컨대, 모스크바는 중앙아시아의 경제적 이익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방면에 걸쳐 있는데, 그 이유는 양측이 과거에 경제 분야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었고, 중앙아시아 국가의 인구와 경제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현 상황에서 러시아의 지정학적 경제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경제적 이익을 실현할 때 서방의 제재 압력 강화, 세컨더리 보이콧 리스크 증가, 중앙아시아에 대한 미국·유럽연합·영국·중국·터키 등의 경쟁 심화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