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기조를 배경으로 수출기업의 채산성 개선
중국 제조업 다시 반등

중국은 지난 주말 공식 PMI 수치를 발표했으며, 제조업 PMI는 49.5로 5월과 변동이 없으며 2개월 연속 위축 상태를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의 제조업 활동에 대한 민간 조사는 공식 수치와 차이가 있어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업황 개선을 보였다.
일본 도쿄 증시는 1일 엔저 기조를 배경으로 수출기업의 채산성 개선 기대로 관련주에 매수가 유입하면서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이어간 채 마감했다.
닛케이 평균주가는 이날 지난달 28일 대비 47.98 포인트, 0.12% 올라간 3만9631.06으로 폐장했다.
월요일 일본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위축률을 1.8%에서 2.9%로 수정했다.
아시아 태평양 증권시장은 투자자들이 일본의 기업 신뢰 지수뿐만 아니라 중국의 6월 기업 활동 데이터를 긍정적으로 평가함에 따라 반등으로 하반기를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 주말 공식 PMI 수치를 발표했으며, 제조업 PMI는 49.5로 5월과 변동이 없으며 2개월 연속 위축 지역을 기록했다.
다만 중국의 제조업 민간조사는 공식 수치와 차이가 있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업황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S&P 차이신 PMI는 5월 51.7에서 6월 51.8로 상승했다.
일본은 월요일 1분기 GDP 위축률을 당초 발표한 1.8%에서 전년 동기 대비 2.9%로 수정했다. 2023년 3·4분기 GDP 자료도 하향 조정했다.
기술적인 브리핑에서 내각부는 이번 수정이 새로운 건설 투자 데이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고] 핵 가족 시대, 더불어사는 정신이 절실
- [기고] 인술(仁術)을 베푸는 슈바이처 의학박사의 휴머니즘
- 베트남 경제 2분기 성장률 최고치 경신할 것
- 인도네시아-필리핀, 석탄의존 감소 난제 직면
- 태국 참치캔 수출 세계 1위
- 베트남 게임 산업, 매출 10억 달러 목표 달성 노력
- "엔화, 지속적인 회복을 맞이할 것인가? "
- 中 8월 PMI, 소폭 하락했지만 경기 회복은 뒷받침
- 일본 정부, 고물가 대응 종합경제대책 확정… 반도체·AI 투자 및 저소득층 지원 포함
- 미 재무부, 베트남 비 환율조작국 확정
- 일본 경제, 2분기 연속 성장세 유지…소비와 급여 증가가 견인
- 미국 주식, 사상 최고 '버핏지수' 기록... 글로벌 수익성과 경제 불균형의 신호?
- IMF, 구매력평가 기준 러시아를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선정
-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 국가 목표…국제 과학 심포지엄에서 논의
- 일본 기업,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저하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일본, 베트남 증시 투명성 제고 협조
- UAE와 중국, 2분기 사우디 비석유 수출 견인
- 동남아 경제, 바닥 치고 '반등'
- [비전 인사이트] 일본의 부활과 중국의 파격적인 첨단산업 지원... "우린 '공짜'에 취해있다."
- 日 2분기 경제 반등 조짐... 연율로는 3.1%
- [비전 인사이트] '글로벌 모범 발전 사례’라는 세계은행의 평가와 여권파워 지수
- 일본 정부,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
- [비전 인사이트] 한국은 기업 '수출대국'이 주는 明과 暗...결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들어야
- 푸틴 대통령,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경제 성장률 세계 평균 상회"
- IMF 총재, "관세 장벽 높아져 글로벌 성장 위태로워"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