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중 연구 시작

보건당국이 ‘신‧변종감염병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사업단 제1차 신규과제 공모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26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신‧변종 감염병 메신저 리보핵신 백신 개발 임상‧비임상 지원을 위한‘신·변종감염병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사업단 제1차 신규과제 공모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공모에서는 그동안 접수된 총 13개 과제 중 임상시험 지원 2개 과제와 비임상시험 지원 7개 과제 등 총 9개의 신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선정한 과제는 비임상‧임상지원을 중심으로 한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플랫폼 구축 및 생산 생태계 확립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각 과제별 총연구비 규모, 국비 지원금액, 연구기간, 성과목표 등에 대한 협약을 거쳐 5월 중 연구를 시작한다.
9개 과제에 참여하는 모든 연구진은 정부출연금을 지원받고 사업단과 업무협약(MOU) 체결 예정인 동물시험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
오는 6월부터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참여 기업 간 원활한 협력이 이뤄지도록 정기 협의회 등을 진행하고, 감염병 연구개발 기술 관련 특허 상담이나 인허가 컨설팅 설명회 개최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제공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박금렬 첨단의료지원관은 “이번 사업을 토대로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플랫폼을 확보해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개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장희창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은 “국가에서 국내 백신 개발 기관들을 대상으로 임상‧비임상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국내 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관련 핵심기술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변종 감염병 mRNA 백신 사업단 홍기종 단장은 “2년 이내에 임상시험 결과를 도출하는 도전적인 일정의 임상지원 과제를 통해 국내 mRNA 백신의 신속생산 기술과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이에 대한 후속 임상연구 수행을 위한 신규항원의 비임상 연구개발의 병행으로 국내 mRNA 백신 개발의 기초를 튼튼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AACR서 연구 결과 최다 발표한 한미약품, “R&D 혁신은 계속된다”
- 에스티팜, mRNA백신 ‘STP2104’ 임상1상 중간 결과 발표
- 모더나, 2030년까지 암·심장 질환 및 기타 질환에 백신 제공 희망
- 블룸버그, "중국 '제로코로나' 탈출 2023년 이후로 연기" 전망
- 코로나19 확진 미접종자, 1회 접종으로도 충분해
- [비전ON] 백신 접종 후 ‘급성심근염’ 가능성, ‘인과성 인정 근거 충분해’
- WHO, 아프리카 6개국 mRNA 백신 기술 지원...현지 생산으로 "백신 공급 가속화"
- 빌 게이츠, "새로운 팬데믹 도래" 경고 …각국에 '백신 투자' 촉구
- 노바백스, FDA 승인 선청서 접수 ‘마지막 관문 넘을까’
- [비전ON] 식약처, “미접종자에게 노바벡스 백신을 우선 접종 검토 중”
- 바이오엔테크 “中 자사 코로나19 백신 승인 총력 지원”
- [비전ON] 美 연구진, ‘오미크론’ 전용 백신 필요 주장
- [비전ON] 노바벡스 백신, ‘오미크론 변이’에 면역 반응 확인
- 홍콩대학 연구팀, ‘오미크론’ 바이러스 분리 배양 성공
- 中 바이두, 프랑스 사노피와 mRNA 백신 개발 추진
- 중국발(發) 투자 현격히 줄어...호주, 외국인투자 다각화 촉진 계획
- 모더나, 아프리카에 최첨단 ‘mRNA’ 백신 생산 공장 건설 추진
- 美질병통제센터, "입원 예방 효능 모더나-화이자-얀센 순"
-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 “글로벌 백신 허브 될 것”
- 베트남 빈그룹, 하노이에서 코로나19 백신 생산 시스템 구축
- 예산 81% 삭감된 mRNA 플랫폼 사업…‘백신 주권’과 ‘R&D 비효율성’두고 갑론을박(甲論乙駁)
- 질병청, 2028년까지 국산 코로나19 mRNA 백신 확보 위해 전방위 지원 나서
-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자들, 노벨 의학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