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제1회 연구결과 발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백신 접종에 따른 사망률 증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급성심근염’은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할 근거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3월 4일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코로나19 백신 안전성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제2차 포럼’을 통해 제1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선 급성신금염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할만한 근거가 확인됐으나, 급성심낭염은 근거가 부족하다는 내용이 발표됐다.
백신 접종을 고려하지 않을 때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동안 국내 전체 인구집단에서 인구 10만명 당 약 0.043건의 급성심근염과 0.17건의 급성심낭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간에 실제로 관찰된 발생률은 급성신금염 0.367건과 급성심낭염 0.228건으로 기댓값의 8.5배, 1.3배로 나타났다.
백신 종류별로는 화이자 백신 1차접종 후 급성심근염 발생률이 3.57배, 모더나 백신 5.67배로 나타났다.
급성심낭염 발생률은 화이자 백신1차접종 후 9.6배, 모더나 백신 7배로 확인됐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 접종 후에는 심근염‧심낭염 발생률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위원회는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심근염은 유의한 발생률 증가가 확인됐다. 다만 흉통으로 내원한 환자 대부분의 진단명이 급성심낭염으로 돼있을 가능성이 있어 과다보고 됐을 수 있어 진단명을 확인해야 한다. 심근염이 동반되지 않은 심낭염은 발생률 증가가 관찰됐지만 급성 심낭염은 인과성을 인정할 충분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향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 3차 추가접종자료 등을 고려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주요 이슈가 되는 이상반응 질환들에 대해 계속 백신과 연관성을 분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관련기사
- [비전ON] 질병관리청 ‘백신 교차접종 안된다’, 백신 예약시스템 ‘되는데요?’
- 바이오엔테크 “中 자사 코로나19 백신 승인 총력 지원”
- [비전ON] 美 연구진, ‘오미크론’ 전용 백신 필요 주장
- [비전ON] 노바벡스 백신, ‘오미크론 변이’에 면역 반응 확인
- [비전ON] 모더나, 내년 3월경 오미크론 대응 부스터샷 출시 예정
- [비전ON] 화이자의 불공정 계약서? '주권 면제 조항도 삽입돼'
- 모더나, 아프리카에 최첨단 ‘mRNA’ 백신 생산 공장 건설 추진
- 미국의 러시아산 금수 검토로 원유 가격 급등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 세계가 타격
- [비전ON] 블룸버그, “WHO, 펜데믹 종식 선언 논의 시작”...필요한 기준 검토 중
- 코로나19 확진 미접종자, 1회 접종으로도 충분해
- 모더나, 2030년까지 암·심장 질환 및 기타 질환에 백신 제공 희망
- [비전ON] 남아공서 2차 화이자 백신 접종, 오미크론 입원 치료 확률 70% 방지 효과 보고
- 보건연구원, mRNA 백신사업단 1차 신규과제 공모 선정 결과 발표
-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자들, 노벨 의학상 수상
- 건강보험 국가지원 미지급금 8조 1,158억 원‘예산 중 33%만 지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