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인도 제조업체는 꾸준한 회복세
국내 판매량은 전년 대비 28.3% 증가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

인도의 자동차 산업이 인도 국내총생산(GDP)의 7.1%, 제조업 GDP의 49%로 인도 내 제조업의 큰 축을 차지하면서 자동차 강국으로 등극했다고 최신호 유로저널이 보도했다.
인도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SIAM)는 2023년 인도 자동차 판매량이 400만 대를 돌파하였다고 발표했다.
해외시장 침체로 인도의 자동차 수출은 476만대로 전년(2022년 561만대) 대비 17% 이상 감소하였으나, 국내 판매량은 485만대(전년 378만대에서 28.3% 증가)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도내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인도 제조업체는 꾸준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산층/청년인구 증가, 도로 인프라 확충 등의 요인으로 특히나 자동차 산업이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면서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1만7천대,전년대비 13% 증가)고급자동차 판매량 2023년 4만 2천여 대로 전년 3만 7천여 대 대비 13.5%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인도는 자동차 산업 중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목표함에 따라 그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0% 줄이기 위해 전기 자동차 판매를 신차 판매 비중 중 최소 3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전기차 판매량은 87만6천여대로, 2022년 43만8천여대 대비 약 100% 성장했다.
전기 자동차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시작한 제도로 전기차 보조금 지급,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지원하는 FAME II 정책에 따라 2023년 12월까지 약 6억 3천만 달러의 보조금 지급 및 전국에 7500개의 급속 충전소 설치를 위한 9600만 달러가 지원되었다.
관련기사
- 2024년 1월 베트남 부동산 외자 유치 1위
- 인공지능, 마이크로소프트의 순이익을 30% 크게 증가 시켜
- 사우디, 석유생산 능력 확대 포기
- 프랑스, 실업률 변동없이 지속 전망
- 브라질, 올해 가장 무더운 2월 맞게될지도... 최고기온 33~38도
- 주류 경제인들의 대거 참여로 성황리에 열린 미국 유타한인상공회의소 초대회장 취임식
- 베트남 디지털 경제, 2024년 두 자릿수 성장 지속
- [기고]인도 모디정부 외교정책을 참고해야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빈패스트, 9월 판매량 9,300대 돌파로 베트남 자동차 시장 1위 달성
- 2024년 9월 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투자 감소 추세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 개발도상국 성장 전망 상향 조정
- 인도 경제, 더욱 중국 수입에 의존
- 인도, 중산층 확대... 2분기 신차 판매 증가
- 테슬라, 인도 기업 상표권 침해 고소
- IMF, 인도 GDP 내년 일본 추월 전망
- 인도, 연평균 천억 달러의 외자를 유치 목표... 다원화된 투자자를 찾을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