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반도체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16억 달러 대형 프로젝트를 필리핀 대신 베트남에 설립하기로 결정
반도체 생산역량에서 필리핀 추월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베트남이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함에 따라 필리핀은 투자 유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현지 반도체 부문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한 업계 단체가 말했다.

필리핀 반도체전자산업재단(SEIPI)의 댄 라치카(Dan Lachica) 회장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필리핀이 산업 발전 전략을 수립하면서 반도체 생산량 측면에서 베트남을 추월하고 있다고 말했다.

23일 온라인 신문 베트남플러스의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 총리 Pham Minh Chinh은 "국가가 세계 최고의 반도체 제조업체 및 설계자를 유치하기 위한 적절한 규정, 정책 및 메커니즘과 함께 개발 전략 및 인적 자원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트남플러스 보도에 따르면 이 계획은 베트남 기업과의 협력을 촉진하여 그들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점차적으로 반도체 산업 가치 사슬에 합류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치카 회장은 "이것이 베트남이 우리를 따라잡는 이유이다."라고 말했다.

필리핀이 베트남의 전략을 반영해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 Lachica는 최소한 산업에 초점을 맞추려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 계획에 대한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인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필리핀 반도체전자산업재단(SEIPI) 관계자는 필리핀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이 베트남에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기로 결정한 사례를 인용했다.

라치카 회장은 회사가 연구개발(R&D)과 확장 프로젝트를 필리핀 대신 베트남에 설립하기로 결정했다고 안타까워하며, 이는 16억 달러(한화 약 2조 1545억 원)의 투자라고 언급했다.

라치카 회장은 기업 회복 및 기업에 대한 세금 인센티브법(CREATE)의 인센티브에 대한 업계의 우려를 논의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과 대화할 수 있기를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작년에 라치카 회장은 CREATE, 특히 재정적 인센티브 합리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5개 회사가 필리핀 대신 베트남, 태국, 중국에 36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자격을 갖춘 수출업체는 4~7년간 소득세 감면(ITH)을 누릴 수 있고, 이어 10년간 5% 특별 법인소득세 또는 법에 따라 강화된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국내 기업은 4~7년간 소득세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ITH 이후에는 5년 동안 공제가 강화된다.

“현실은 여전히 운영 비용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인센티브 합리화 측면에서 이루어진 일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우리는 이 문제를 정말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여전히 ASEAN 경쟁자들이 얻는 것의 17~20%를 얻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라치카 회장은 앞서 말했다.

“그리고 필리핀 이외의 여러 나라에 사이트가 있기 때문에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비용이 높고, 예를 들어 전력 비용이 높지만 인센티브를 통해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면 CEO가 이러한 신제품을 어디에 배치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고 그는 반문했다.

또한 필리핀 통계청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전자 제품은 8월에도 필리핀의 최대 수출 품목으로 남아 있으며 38억 8천만 달러의 수입을 기록했으며 이는 1년 전의 36억 5400만 달러보다 6% 증가한 수치다.

반면 필리핀의 전자제품 수출은 4.8% 감소한 281억9600만 달러(한화 약 37조 9687억 원)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