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석유가격 급등으로 석유분야 15.4% 성장
2022년에 8.7% 성장, 2021년 3.2% 성장
2023년 경제성장률 10월 전망치 3.7%보다 1.1%포인트 낮은 2.6%전망
향후 5년간 석유 수요 급감으로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끼칠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가스탯)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비석유 활동의 높은 증가에 힘입어 2021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22년 4분기에 5.4% 성장했다고 31일(현지시간) 아랍뉴스가 보도했다.
가스탯 보고서는 2022년 4분기 사우디 내 비석유 활동이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석유 활동은 6.1%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정부 서비스 활동이 2021년 같은 분기에 비해 지난해 4분기 1.8%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사우디의 실질 GDP는 2022년 3분기와 비교해 4분기에 1.5% 성장했다.
가스탯 보고서는 GDP가 분기별로 증가한 것은 비석유 활동이 1.7%, 정부 서비스 활동이 0.5%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2022년 4분기 석유활동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3% 감소했다. 석유 가격하락 요인으로 풀이된다.
가스탯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 경제는 석유 활동 15.4% 성장에 힘입어 2021년에 기록된 3.2%에 비해 2022년에 8.7% 성장했다.
2022년에는 석유 외 활동과 정부 서비스 활동 역시 각각 5.4%, 2.2% 증가했다.
사우디 측은 "수익 증가를 경제 다각화를 위한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라고 Georgieva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IMF는 이날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월 전망치인 3.7%보다 1.1%포인트 낮은 2.6%로 낮췄다.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최고경영자(CEO) 캐시 우드는 지난 1월 19일 향후 5년간 석유 수요가 30% 급감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원유가격이 올해까지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 세계 석유 수요가 크게 감소한 만큼 원유 가격에 대한 강력한 하락이 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미국 워싱턴포스트 "2023년 주목해야 할 세계 5대 선거"
- 대만, 2월 7일부터 중국 본토 여행객의 PCR 검사 취소
- 인도 1위 부자 아다니, 주가조작 비난 받아... 시총 700억 달러 증발
- 계란을 가장 건강하게 먹는 4가지 방법
- 호주 외무장관, 영국에 '식민지 역사'를 직시할 것을 촉구
- 中 원격학습 졸업장 인정 안해... 수천 명 중국 유학생 호주 학교 복귀 러쉬
- 사우디, 스포츠와 운동선수들을 위한 '세계적인 중심지'로 발전
- 사우디, UAE, 겨울 공급 위기시 석유 생산량 대폭 늘릴 것
- [컬쳐e] 사우디와 UAE, 2030년까지 11만개 호텔 객실 추가확보...성지순례 겨냥
- 사우디 왕세자, 세계 최초의 '비영리 도시' 건설한다
- 사우디, 소말리아 주재 사우디 대사관 재개설
- 사우디, 영화산업 세계적 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한 몸부림... 관련 정책 추진 중
- 사우디, 코로나 대유행 속 '리야드2 축제' 추진 강행
- [컬쳐e] 사우디 낙타축제 로 "이슬람 문화 유산 홍보"... "국제적인 축제"로 부각
-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스타트업 ‘꾼미디어’에 프리A시리즈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