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급부족과 탄소배출 억제차원에서 원전 재가동
원전 가동 전기가격이 가격측면에서 저렴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탈원전 정책 이탈 조짐 가속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유럽 여러 나라가 원전 도태 계획을 유보하기로 결정하면서 아시아에서 미온적이었던 원자력도 다시 태어났다고 싱가포르 연합조보 28일 보도했다.
일본과 한국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있고, 중국과 인도도 향후 에너지 공급 부족을 피하면서 탄소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추가 원자로 건설을 모색하고 있다.
아시아의 주요 전력 공급은 천연가스와 석탄이라는 두 가지 화석연료에서 나오지만, 천연가스와 석탄 가격이 올 들어 치솟으면서 원자력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데이비드 헤스 국제원자력운용정책분석가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의외로 탈원전 저항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
기존 원전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가격이 저렴하다.
치솟는 원유와 가스 가격에 맞서 "원자력 생산에 따른 경제효과는 더 크다."라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수요일(8월 24일) 차세대 원전 건설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탄소 배출을 줄이면서 전력 공급의 안정을 꾀하기 위한 일본 정부의 에너지 정책의 역전현상이다.
탄소 감축 사회를 만들려면 원전 재가동을 위한 에너지 안정과 안전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연료 가격이 급등하고 에너지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일본의 에너지 안보가 흔들리고 있다.
일본뿐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6월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플랜트 건설을 재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동남아 개발도상국들도 원자력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필리핀의 신임 대통령인 마르코스 주니어는 지난 7월 "원전은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해 전력비용을 줄이고 에너지 공급을 늘린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인도네시아도 2045년까지 첫 원전을 가동해 순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는 한편 2060년까지 재생에너지에도 의존하는 병행 전략의 전력 공급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내놓았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전기차 스타트업 샤오미, 북경 현대 합작회사 북경자동차와 손잡나?
- 세계 명품시장 회복 조짐...올해 럭셔리 주식 이익 전망치 상향
- [월드e] 중국, 유학생들에게 다시 문을 활짝 열 것
- [월드e] 파월 "큰폭 금리인상 유지 시사"...통화정책 조기완화 어려움 표방
- [월드e] 中 쓰촨 전력난 해소... 일반 상공업 전력 모두 회복
- [기고] 석산 개발 허가는 로또인가 재앙인가?
- 독일, 가스 재고비축량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
- [Inside]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산업, 사회변화 주도... 연간 성장률 47%성장세
- EU, '탄소국경세' 도입 합의... 2026년 시행
- 동남아, 기후온난화 주범에서 재생에너지 핵심 산업 기지로
-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의회가 원자력 투자 법안 통과 희망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에너지 정책, "정치적 가치 아닌 실익 우선해야” 한다.
- 필리핀, 2025년 연료 가격 인하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