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률 저조에 밀려 서비스 이관

약 4년 전 은행권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통합 인증 플랫폼 뱅크사인은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당시만 해도 은행권은 뱅크사인이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해 시장에 나왔으나 시장 선두업체와의 경쟁, 사용성의 한계 등으로 결국 금융결제원(이하 ‘금결원’)으로 이관됐다.
뱅크사인은 지난 2018년 16개 은행과 은행연합회가 만든 공동 인증 서비스로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해 은행권이 합심해 만든 야심작이다.
뱅크사인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이뤄져있어, 당시 은행권은 보안성이 뛰어나다고 강조하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은행권의 야심찬 포부에도 뱅크사인은 사용자들에게 외면 받았다.
실제로 서비스를 선보인 지난 2018년 가입자 수는 11만 6,000명에 그쳤다.
이후 2019년 27만 3,000명, 2020년 33만 9,000명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더 이상의 반항을 일으키진 못했다.
인증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이동통신3사의 패스(PASS)의 가입자가 3,000만 명을 넘는 점을 비교하면 뱅크사인의 사용률은 훨씬 저조하다.
뱅크사인(Bank Sign)의 가장 큰 흥행실패 원인은 사용성이다.
뱅크사인은 애플리케이션을 따로 설치해야 회원가입부터 서비스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범위는 은행권에 제한되어 사실상 서비스를 사용할 일이 많이 없는데다 잦은 오류도 흥행실패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2020년 12월 전자서명법 개정안 시행으로,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가 폐지되면서 간편인증 서비스의 종류가 많아졌다.
패스 외에도 카카오페이, 네이버 등 빅테크 기업이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뱅크사인의 몰락을 앞당겼다.
이들은 뱅크사인과 달리 발급절차가 간단하고 사용법이 간편한 점을 활용해 공격적으로 시장점유율 확대에 나섰다.
치열한 경쟁에 밀리자, 은행권은 뱅크사인의 홍보를 축소했고 결국 지난 2021년 은행권은 뱅크사인을 금결원으로 이관했다.
이후 은행권은 개별 인증서 서비스를 위해 전자서명인증사업자에 뛰어들었고, 뱅크사인은 완전히 금결원으로 넘어갔다.
금결원은 뱅크사인을 단순히 인증수단이 아닌 신원증명 플랫폼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즉, 기존에는 뱅크사인을 통해 본인인증만 가능했다면, 앞으로는 디지털 지갑처럼 신분증이나 명함을 보관하는 신원증명 플랫폼으로 확대한다는 이야기다.
금결원은 뱅크사인 서비스가 종료되는 9월 16일부터 뱅크아이디(Bank ID)로 통합 운영한다.
달라지는 점은 참여기관을 은행에서 서민금융기관, 금융투자회사, 보험회사, 카드사 등으로 확대한 것이다.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은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활용한 군인자격증명 서비스다.
은행이나 공공기관 등에 본인이 군인임을 증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시 은행을 방문하지 않아도 뱅크사인을 통해 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금결원은 기업간정부(B2G) 사업 일환으로 은행의 신분증 진위확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현재 은행 등에서 모바일신분증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때 금결원은 뱅크사인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해 모바일신분증 검증을 한다.
이로써 금결원은 뱅크사인을 통해 사용자와 은행에게 각각 서비스를 하는 투 트랙 전략을 취하게 된다.
금결원 관계자는 “뱅크사인 관련해 내부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범위를 넓히자는 요구가 많았다.”며 “그 결과 인증서뿐만 아니라 디지털증명서 서비스를 계획했으며, 여기에 은행의 신분증 진위확인 서비스를 하게 되면서 투트랙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금융결제원-공무원연금공단, 블록체인 기반 금융기관 알선대출 공동사업 업무협약 체결
- 금융결제원, 아르메니아 중앙은행과 금융인프라 개선 협력
- 국내 계좌없는 재외동포도 어디서나 금융인증서를 통해 본인인증을!
- 최종구 금융위원장 “금융결제망 전면 개방해 금융강국 도약할 것”
- 종부세 고지서 받아드니 "헉"소리가 나왔다
- "부적격 당첨 줄어드나" 주택 청약은 '청약홈'에서
- 착오로 송금한 1조, 반환된 돈은 '절반'뿐…돌려 받을 방법은?
- 잊고있던 내 주식 2000억원…내일부턴 "내 계좌 한눈에"
- SK㈜ C&C, 롯데손보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착수...왓슨 기반 AI '에이브릴'도 적용
- KB국민은행, 리브(Liiv) 전면 개편... 생활 속 모바일지갑 서비스 선봬
- 해커그룹, 지방은행 먼저 공격후 28일 대규모 공격 예고...1TB 넘는 공격시 대응 범위 넘어서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2천만명 돌파
- 주택청약종합저축 '1순위' 가입자 1천만명 넘어서...수도권이 절반이상 차지
- 강남구 개포주공3단지 '디에이치 아너힐즈', 평균 100대 1이 넘는 청약 경쟁률 기록
- 올해 12월부터 본인 명의 모든 은행계좌 온라인에서 한 번에 조회
- 계좌이동서비스 도입 7개월만에 500만건 넘어서-은행연합회
- 7개 금융공기업, 사용자합의회 탈퇴 결정...금융노조와의 협상 거부
- 계좌이동서비스 실시 이후, 계좌변경 200만건 넘어서...
- 계좌이동 3단계 첫날 계좌 30만5천건 변경... 2단계 대비 13배 달해
- 손바닥정맥 바이오인증으로 ATM거래와 창구거래까지...KB국민은행, 바이오인증 관련 서비스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