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손실은 곧 자본의 손실
신용등급 하락 위험 국가 방글라데시・에티오피아 등

영국의 투자은행 ‘바클리스’(Barclays plc)는 국가가 자연자본을 관리 못해 손실되면 국가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내놓았다.
‘자연자본’은 물, 공기, 토양 등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 등이다.
자연자원을 위험에 빠뜨리면 농업과 같은 주요 부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국 자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바클리스의 연구진은 이로 인해 채권 차입 비용이 높아질 경우 채권 보유자의 신용 위험 또한 가중된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내용은 바클레이스의 ESG 글로벌 책임자인 매기 오닐(Maggie O’Neal)을 주축으로 한 연구에서 나왔다.
신용등급 하락 위험 국가로 지목된 나라는 ▲방글라데시 ▲에티오피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등이다.
실제로 에티오피아는 신용평가사 S&P, 피치 등으로부터 외부 자금 조달 부족과 대외 부채 구조조정 지연 등을 이유로 국가 신용등급이 각각 한 단계씩 하향 조정된 바 있다.
자연의 손실이 자본 손실로 이어지는 일도 늘고 있다.
지난 9월 4일, 유엔 산하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는 전 세계에 침입 외래종이 확산해 2019년에 연간 4,230억 달러(원화 약 564조 원) 이상의 경제 비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8월 에너지경제금융분석원(IEEFA)은 신용등급기관들이 기후 관련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이러한 추세는 안정성을 중시하는 채권 시장 참여자들의 우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6월 대출기관인 유럽투자은행(EIB)를 주축으로 ‘자연부채교환’(DNS) 제도를 지원할 계획을 내놓았다.
‘자연부채교환 제도는 개발도상국이 자연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을 책정하면 그 대가로 해당국의 채권을 매입해 부채를 줄여주는 것을 말한다.
바클레이스의 연구진들은 “수익금 할당이 자연보다 탈탄소화에 편향되고 있다.”라며 “생물다양성은 중요한 자산이지만 가치가 없는 자산으로 잘못 관리되고 있다.”라고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이 채권 발행자와 협력함으써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미국인 카드 연체… 월가 불안
- 월가 IB, 中반도체 낙관론... "장기 투자가 승자 될 듯"
- 루이뷔통 실적 최고치 기록... '중국 소비자' 덕분
- [비전 인사이트] 정의선 회장, "자동차 산업 올해의 리더"선정... '도전과 열정'의 산물
- 러시아 경제, 2분기 증가폭 기대 이상... 내년 전쟁 전 수준 회복 전망
- 유럽 빅5 은행, 인플레 장기화로 경영환경 악화
-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다
- 씨티은행,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 2% 이하 전망
- 英 에너지 비용 상승... '절약 생활화'
- 방탄소년단, ‘MTV VMAs’서 올해의 그룹·베스트 Kpop상 수상
-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 "건강을 잰다"
-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9'의 비밀
- [취재後] 블록체인시스템,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자
- [세계 경제 변혁 주도할 기술 - 블록 체인②] 세계시장 연평균 60% 성장 전망, 금융권 '집중 연구'
- 방글라데시, '디지털 및 기술 발전'의 도약 시도
- 에너지경제신문, 독립리서치 밸류파인더와 MOU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