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이미지로 제공
전 세계 검색 시장 1위 구글, 점유율 90.9%

오픈AI(Open AI)가 자체 검색 엔진 ‘서치GPT(Search GPT)’를 공개했다.
지난 7월 25일 오픈AI는 AI 기반의 검색 엔진 서치GPT의 프로토타입(Prototype) 버전을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겠다고 밝혔다.
서치GPT는 이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요약된 검색 결과와 소스 링크(Source Link)를 제공하며, 이미지 등으로도 제공한다.
향후 서치GPT가 궤도에 오르면 챗GPT가 통합될 예정이다.
지난 2월 오픈AI는 웹 검색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사실이 미디어를 통해 공개되면서 검색 엔진(Search Engine)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현재 전 세계는 구글(Google)이 사실상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 4월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구글의 검색 시장 점유율은 90.9%에 달하고 있다.
지난 5월 구글이 출시한 생성형 AI 제미니아(Geminia)를 탑재하면서 AI 기반 검색 시장의 주도권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오픈AI 샘 올트먼 CEO는“우리는 현재보다 훨씬 더 나은 검색을 만들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오픈AI 가격전쟁 시작!
- 드디어 등장한 챗GPT-4, 이미지 답변도 가능한 업그레이드 탑재
- 챗GPT 활용 법률 작성, '의원 AI로 대체'... 브라질 시의회 통과
- 마이크로소프트와 메르세데스-벤츠, ChatGPT 차량용 시스템에 설치
- EU 회원국, 챗GPT 규제 움직임 확산
- 유럽의회, AI 규제 법안 발의
- 블룸버그, 자체 금융판 챗GPT 출시
- 태국 남성, 챗GPT로 복권 당첨
- 챗GPT 개인 정보 침해... 이탈리아,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사용 금지
- 中기업도 챗GPT 주목... 글로벌 AI 경진대회 합류
- 카카오, 챗GPT의 등장을 기회로 삼을 심산…대화형 AI를 카톡에 접목
- 일본, 외국인 인구 15년 연속 감소 사상 최대... 1968년 조사 이후 가장 큰 폭
- 2024년 베트남 쌀 수출 50억 달러 돌파
- 허깅페이스, 인공지능 기반 웹 앱 개발 도구 ‘오픈AI-그라디오’ 공개
- IT 기업 생성식 AI 투자액 증가, 단 "투자 채산이 좋지 않다"
- 오픈AI의 AI추론칩 개발 ‘TSMC・브로드컴 참여’
- 구글, 인도 스타트업 적극지원을 공언...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작용 할것"
- 구글, 차세대 양자 컴퓨터 칩 ‘윌로우’ 공개…‘양자 오류 수정’분야 30년 난제 해결
- AI 스스로 제어하고 작업…오픈AI 곧 'AI 에이전트' 출시
- 구글, AI 힘입어 구독자 1억 5천만 명 돌파 ‘수익 다각화 본격화’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