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가 체코 원전 2기를 수주한 것은 대단한 쾌거다.
이에 따른 경제 유발효과가 최소 50조원 이상일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파급효과가 대단하기 때문이다.
실제 원전 건설비(총사업비)가 최소 24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통상 60년 정도인 원전 운영·관리 계약도 함께 체결돼 건설비와 비슷한 매출과 함께 유럽과 중동에서 추가적인 수주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 원전이 유럽 시장 관문을 뚫은 배경엔 한국 산업 전체의 경쟁력과 정부의 다각적인 세일즈 외교, 그간 쌓아온 친선의 저력이 한 몫 했다.
한국은 지난 정부에서 탈(脫)원전으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했기에 2009년 수주한 UAE(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의 공사는 이어가고 있지만 그간 해외 수주가 없었다.
해외 원전수주가 단순히 원자로 기술과 건설능력을 파는 게 아니라 국가 차원의 관련 산업의 출로를 열어준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 한수원이 기본적인 가격·품질·납기 등 3박자 경쟁력을 갖췄다.
중국에도 앞서는 한국 원전건설 단가 는 이번 체코 원전 수주의 가장 큰 무기는 였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원전 건설 단가는 ㎾당 3571달러로 주요 경쟁국인 중국(4174달러), 미국(5833달러), 러시아(6250달러), 프랑스(7931달러)에 비해 많게는 절반 이상 낮다.
일각의 덤핑 수준 논란에 국내 원전 전문가들 조차도 ‘기술력이 바탕된 가격 경쟁력’을 강조·인정했다.
이러한 강점 구비와 함께 국내 체코 진출기업들이 구축한 우호적 협력과 민간 공공외교를 통한 친한적인 환경이 밑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주 체코 정부에 친서는 마지막 '신의 한수'였다.
단순한 눈앞의 이익 추구가 아닌 진정한 한ㆍ체코간 장기적인 전략전인 협력 로드맵을 제시했던 것이 주효했다.
보내 체코 내 인력·인프라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반도체·전기차·AI(인공지능) 등 '첨단산업협력 패키지' 등 양국 경제협력 청사진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제 까다롭기로 유명한 유럽시장에서 원전 강국 프랑스를 당당히 제치고 수주 했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끼며 이러한 대업을 계속 이어가 주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 [기고] 감사의 분량'이 곧 '행복의 분량'
- 한양화로, ‘사랑나눔’ 행사
- 美 인플레이션 진정 상황 유지... 금리인하는 시기문제
- 日 100년 전통 기업 부도 95% 급증... 사상 최대치를 기록
- 전 세계 원전 설비 용량 최고치 경신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에너지 정책, "정치적 가치 아닌 실익 우선해야” 한다.
- 2023년 3분기 中 반도체 제조설비 수입액 급증
- 프랑스 출산율, 제2차 세계 대전 후 최저 기록... 출생율 1.64
- 中,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핵심 소재 게르마늄 대미수출 '올스톱'
- 프랑스 기업, 유럽 인공지능 업계 '우승' 쟁취
- 中, 6~7월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 급증
- 체코, 대러 석유의존도 2012년 이래 최대치 도달
- UAE 매체, “일대일로, 아랍에미리트 발전 기회 제공”
- 한수원, 아시아 최초로 ‘원자력 그린본드’ 발행 성공
- 산자부-중진공 ‘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