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동맹국들의 대중 하이테크 수출 금지 조치에 대한 베이징의 반격

21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세관에 따르면 갈륨과 게르마늄의 대미 수출은 2023년 7월 이후 완전히 중단됐다.
또 2023년 중국의 대일 갈륨 수출액은 4분의 3 가까이 급감했고, 대일 게르마늄 수출액도 3분의 1가량 줄었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선진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핵심 소새들이다.
중국은 전 세계 갈륨과 게르마늄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베이징은 2023년 8월부터 갈륨 및 게르마늄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했다.
또한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2023년 갈륨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3분의 2로 줄었고 게르마늄 수출액도 약 8% 감소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분석가들의 말을 인용해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규제는 미국과 동맹국들의 대중(對中) 하이테크 수출 금지 조치에 대한 베이징의 반격의 시작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기준금리 3% 유지 결정
- 홍해 위기, 전 세계 식량 무역을 강타... '식품 인플레이션' 유발
- 2024년 필리핀, 세계 최대 쌀 수입국 될 듯
-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연결 고속철도 이번에 재개하나?
- 해외 기술유출 사례가 급증추세... 약 75%가 중국
- 다우지수가 200포인트 가까이 상승
- 유럽 증시 침체기 마감... 상승세로 돌아서
- [비전 인사이트] 트럼프 '대중견제'강화 정책에 대비해야!
- [기고] “친중(親中)”머스크는 왜 “반중(反中)”트럼프의 치어리더가 되었을까?
- [비전 인사이트] 미중 갈등 격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예상되는 '트럼프 리스크', 선제적 대응 절실
- [비전 인사이트] 美대통령, 누가 당선되어도 대중 견제 더욱 고삐죈다.
- 中 샤오미, 3nm 칩 개발 성공... 스마트폰 성능과 가격 변화 예고
- 美,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에 16억 달러 투자
- [비전 인사이트] 한국 반도체 대기업, 인도로 공장 진출 꺼린다
- 美 연준 '빅컷'으로 한국·중국 증시 훈풍 부나
- 네덜란드 총리, “반도체 장비의 대중국 수출은 ASML의 경제적 이익을 고려”
-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비전 인사이트]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트럼프 당선 후 중국산 고관세 부과예상... 유럽경제에 오히려 得
- 동남아 국가 브릭스 급물살
- [기고] 월가의 나무는 하늘까지 자라지 않는다
- [비전 인사이트] TSMC와 ASML, 중국비중 더 증가..."미국의 정책이 있으면 중국의 대책이 있다"
- [비전 인사이트] 프랑스를 제친 체코 원전 2기 수주... 정한 '원전 강국'되는 계기 되길 기대
-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中기업의 엔비디아 칩 금지령 회피 지원" 보도... '느슨한 조치'랴는 반증
조성영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