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와 EU는 16차례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협상을 진행

에어랑가 하르타토 인도네시아 경제총괄 장관은 인도네시아가 EU와 무역협정을 조속히 타결하고 싶다며 베트남, 특히 신발 수출 분야와 경쟁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엘랑카 하르다토는 최근 틸리번 투자자 세미나에서 베트남-EU FTA가 99%의 관세율을 철폐해 베트남의 많은 신발 제품이 유럽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네시아와 유럽연합(EU)은 FTA협상을 계속하고 있어 신발류를 유럽과 미국에 수출할 때 20%의 수입세가 부과되는 무역 장벽에 직면했다.
'베트남-EU 자유무역협정'은 2020년에 발효되었다.
신발은 베트남의 유럽 시장에 대한 주요 수출품 중 하나이다. 경제복잡성관측소(OEC) 데이터베이스는 독일과 벨기에 등 EU 회원국을 2021년 베트남 신발 수출 상위 5개국으로 선정했다.
베트남 신발의 대독일 수출액은 10억4000만 달러(1조 3919억원), 벨기에는 7억2200만 달러(9659억 6380만원)다. 베트남 신발 수출 총액은 199억 달러(26조 6242억원)에 달한다.
OEC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신발 수출은 베트남의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2021년 인도네시아 신발 수출액은 58억 달러에 달한다. 이 중 대독 수출은 5억500만 달러, 벨기에는 2억8400만 달러다.
2016년부터 인도네시아와 EU는 16차례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협상을 진행했다. 다음 협상은 다음 달로 예상되는데 인도네시아 정부는 올해 CEPA 협상을 마무리해 프리미엄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일본 외국인 근로자 수가 200만 돌파, '11년 연속 최고치' 기록
- 루이뷔통 오너, 자산 2000억 달러 넘어... 세계 '최고 부자' 등극
- 애플, 작년 세계 시가총액 1위 차지... 10대 테크 기업 시가총액 70% 차지
-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와 중국과 '노비자'조치... 3개국 '여행 활성화' 조짐
- 전라북도 태권도 시, 도 지방무형문화재인 국기태권도를 국가유산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 미국의 현 경제상황 고려시, 2분기 부터 금리 인하 시동 전망
- 초콜릿 강국 벨기에, '코코아 폭풍'으로 업종 타격
- 베트남 '반미', TasteqAtlas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샌드위치 100개 순위 1위 선정
- 인도네시아, 대기질 평가 '우다라쿠 앱' 개발
- 인도네시아, 전 세계 팜유 수출의 54%를 차지
- EU, 플라스틱 등 폐기물 수출금지 합의
- 유럽연합(EU)의 산림훼손방지규정, 인니 가구 업계에 충격... 업계 85% 미적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