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웨이 일자리 프로젝트’ 5대 핵심전략 수립

대구 달서구청이 2023년부터 4년간 ‘달서형 일자리’ 정책을 통해 53,000개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대구 경제의 심장인 성서산단에 활력을 불어넣고, 취약계층에게도 다양한 일자리를 지원한다는 목표다.
1월 26일 달서구청은 2023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6,319억 원을 투입해 공공부문 52,179개, 민간부문 889개 등 총 53,068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달서형 일자리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달서구는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적극적으로 정부 공모사업에 응모해 4년간 5,594억 원의 일자리 예산을 투입했고, ‘고용노동부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5년 연속 수상이라는 성과를 만들어냈다.
앞으로 4년은 지난 4년보다 더욱 예산 규모를 키워 일자리 창출에 집중한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달서구는 ‘달서웨이 일자리 프로젝트’로 명명한 5대 핵심전략을 수립했다.
첫 번째 전략은 기업이 선도하는 ‘일자리 육성’이다.
기업의 성장과 고용환경 개선이 민간 일자리 창출에 큰 힘이 된다는 생각으로 성서산단 대개조사업을 지원하고, 달서구 강소기업과 구직자를 잇는 희망브릿지 사업 등을 추진한다.
다음은 청년 취‧창업을 지원하는 ‘일자리 창출’이다.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을 비롯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청년 해외취업 지원, 공공기관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 등을 진행한다.
세 번째는 일자리 교육과 평생학습을 핵심으로 한 구인구직 맞춤 '일자리 이음' 전략이다.
시대 변화에 따른 디지털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과 계명문화대와 연계한 지역밀착형 고등교육 사업, 중장년 전담 50플러스센터 운영, 신달서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등이 포함된다.
창업을 희망하는 구민이 누구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자리 확충’과 취약계층 거주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장애인‧노인일자리 사업’도 5대 전략에 포함됐다.
일자리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도 추진한다.
두류동 일대 골목상권을 활성화하는 상권 르네상스 사업에 구비 20억 원을 포함한 80억 원을 투입하고, 와룡시장을 디지털 전통시장으로 조성한다.
달서경제지원단을 운영해 소상공인‧중소기업 맞춤형 상담도 지원하며 달서경제포럼 등 기업인 대상 맞춤형 교육도 추진한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지난 4년간 일자리는 최고의 복지라는 신념으로 일자리 사업을 이끌며 일자리가 구민 삶의 최고 활력소임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활발한 정부 공모사업으로 기초지자체가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자원을 동원해 일자리 사업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달서구, 창작 웹드라마 ‘달프의 하루’ 통해 관광홍보 다변화
- 달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2022년 성과공유회 성료
- 벤처기업협회 김민지 팀장 '일자리유공자 표창 수상'
- 9시까지 확진자 ‘24만 명 돌파’, 내일도 26만명 나올까
- 성서노인복지관, ‘성서 시니어 카페’ 개소
- 제 22회 달서경제포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주제로 지역 경제인들과 만나다
- 태풍급 강풍 예보...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운영 중단'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2023 예술인 파견지원사업-예술로 대구’ 공모
- 대구 달서구청, ‘골목길 벽화그리기’로 지역 활성화 추진
- 달서구청, 달서청년정책공방 ‘달청책방’ 참가자 모집
- 대구 달서구, ‘2023 달서청년주간’ 행사 통해 청년의 꿈과 도전 응원
- 달서구청, 청년주간 맞아 ‘달서구 청년정책공방’ 개최
- 대구 달서구, ‘2023 지자체 전환사업 성과평가’ 우수기관 선정…13억 5,000만원 예산 추가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