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플래솜 서비스
소액 마일리지 통합해 지역화폐와 DGB유페이로 전환

대구광역시(시장 권영진)가 공공‧민간분야에서 발생하는 소액 마일리지를 통합해 지역화폐와 DGB유페이로 전환하는 ‘D마일’ 서비스를 출시한다.
‘D마일은’ 서비스 이용으로 쌓인 마일리지를 교통, 유통, 편의시설 결제로 사용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이다.
12월 12일 대구광역시(이하 ‘대구시’)에 따르면 ‘D마일’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는 크게 공공 분야와 민간 분야로 구분된다.
‘대중교통 마일리지’는 대구시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공공 마일리지 가운데 하나다.
2022년 1월부터 승용차 요일제가 전면 개편되면서 운휴일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건당 1,000원의 마일리지가 적립되며, 추후에 탄소 마일리지, 자원봉사 마일리지 등 다양한 마일리지로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에서 발생하는 마일리지는 퍼스널 모빌리티가 대표적으로 ‘빔’, ‘킥고잉’, ‘일레클’, ‘윙스테이션’ 등 퍼스널 모빌리티 업체들이 마일리지 통합 서비스에 참여할 계획이다.
퍼스널 모빌리티 지정주차구역에도 ‘D마일 플랫폼’이 마련된다.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 주정차 허용구역 30개소를 지정한 대구시는 내년에는 3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대구ID’도 D마일 서비스에 활용된다.
‘대구ID’는 대구시가 제공하는 다양한 사회 서비스를 하나의 ID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인증 서비스를 말한다.
지난 4월에 출시된 ‘대구ID’를 사용하면 한 번의 온라인 인증으로 도서대출, 캠핑장 예약 등 31개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대구시는 앞으로 시에서 서비스하는 대부분의 사용자인증분야에 대구ID를 접목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 지원과제(‘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 통합 플랫폼’)로 선정돼 추진됐다.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은 공공분야의 데이터, 서비스, 자원 등을 민간에 개방하는 플랫폼을 기획하고 이를 기반으로 민간에서 혁신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말한다.
관련기사
- 대구 마일리지 플랫폼 ‘D마일’, 신규가입자 위한 이벤트 연다
- 대구신보, 중소기업‧소상공인 경영 부담 덜기 위해 금융지원 확대
- 대구시,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전략회의’ 개최
- 대구시, 미래차 전환 지원 비전선포 ‘산‧학‧연‧관의 힘 모아 자동차 부품사 지원’
- 출시 1주일 된‘대구로 택시’, 택시 5천대 가입
- 대구‧경북 설 연휴 24일까지 박물관 체험행사 즐기자
- 대구형 공공택시앱 ‘대구로 택시’ 출시
- 대구시의회, 중소기업 지원 3종 법안 본회의 통과
- 대구 침장산업, 호치민에서 상담액 107만 달러 성과 올려
- 재정분야 3관왕 수상한 ‘대구시’ 특별교부세 20억 원 받아
- 대구시-벨 텍스트론 도심항공모빌리티 업무 협약 체결
- 대구광역시, 5년간 1,000억 규모 ‘ABB 성장 펀드’ 조성
- 달서구, 창작 웹드라마 ‘달프의 하루’ 통해 관광홍보 다변화
- 두산로보틱스, 대구에 남부지사 설립 ‘영남권 영업 확장’
- 대구전통시장진흥재단, ‘명품 골목상권 조성사업’ 위해 남구청-물베기상인회와 업무협약
- 대구 시가총액 1위 엘앤에프, ‘지역대표 중견기업 선정’
- 美 자동차 부품업체 ‘보그워너’, R&D센터 대구 건립 협약
- 대구시, 새싹기업 보증료 및 컨설팅 지원 사업 시행
- 대구 15개 기업, 중기부 ‘지역스타기업’에 선정
- 대구시의회, ‘정책지원팀’ 전국 최초 운영
- 대구 공공시스템, ‘대구ID’ 하나로 다 된다.
- 대구시, 자체 블록체인 프라이빗 메인넷 구축…핵심은 운영 방침
- 대구광역시, 중소기업 근로자 자녀 장학생 선발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