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오펙플러스(OPEC+)'가 오는 8월부터 하루 54만8천 배럴의 원유 생산을 추가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는 올해 들어 불안정하게 움직이던 유가에 하향 압력을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결정은 7월 5일 화상으로 열린 회의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카자흐스탄, 알제리, 오만 등 8개 회원국이 합의한 결과다. 오펙플러스는 성명을 통해 "글로벌 경제가 점차 안정세를 보이고 있고, 세계 석유 재고 수준이 낮다는 점을 고려해 증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근 유가는 중동 지역의 긴장 고조로 급등세를 보였으나,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 3곳을 공습한 이후 평화 협상이 중재되면서 다시 크게 하락한 바 있다. 이번 오펙플러스의 증산 발표는 이러한 유가 안정 흐름에 추가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오펙의 핵심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조직 내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러시아는 최대 비오펙 산유국으로 이번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펙플러스는 지난해 12월에도 생산 확대 계획을 논의했으나, 당시에는 글로벌 수요 부진과 비회원국의 공급 증가 가능성을 이유로 증산을 연기했다.
이번에 발표된 생산 확대는 올해 4월부터 2026년 가을까지 18개월간 일일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220만 배럴 확대하는 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 [태권도IN] '무주 태권도시'구현, 군민과 출향민의 열정적인 동참이 절실하다
- [특별기고] AI 시대 K-디지털 금융,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전쟁 시작 (下)
- FAO, 6월 세계 식품 가격 소폭 상승
- 미 관세 압박에도 베트남 상반기 7.52% 성장…2011년 이후 최고치
- [기고] 숫자 4(四)의 깊은 뜻
- 중동 위기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아랍에미리트,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상 강
- OPEC+ 증산 결정, 연말 석유 공급 과잉 우려
- 셰일 오일 호황의 종말? 트럼프 관세·유가 하락에 미국 석유 산업 흔들
- 국제 유가 4년 만에 최저…OPEC+ 증산 가속에 공급 과잉 우려 확산
- 러시아 경제 위험 심화… 유가 하락과 재정 압박 경고
- OPEC+, 감산 협정 2026년 말까지 유지
- IMF,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 3.3% 전망
- 지정학적 위험 속 원유 시장, 80달러 돌파
- 필리핀, 2025년 연료 가격 인하 예상
- 유가 하락... 세계 경제에 미치는 다중적 영향
- 전세계 원유 수요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유가 향방 불확실성 증가
- OPEC 국가들,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12월 말까지 연장
- OPEC, 2024년 석유 수요 증가 전망 하향 조정
- 중동 정세 악화로 걸프국 석유 공급 차질 우려
- 골드만삭스, AI가 향후 10년간 유가 억제에 나설 듯
- 유가 당분간 보합세 유지
- 석유 증산 계획과 중국 경제 불확실성으로 '유가 안정세'
- UAE와 중국, 2분기 사우디 비석유 수출 견인
- 지난주 유가,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배럴당 75달러에 육박
- 미국 경기 침체와 중동 전쟁 우려로 원자재 가격 급락
- 사우디, 시리아에 64억 달러 투자
김소진 기자
kwbman@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