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흥미를 유도시킴으로써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공감대 가져
무빙웹툰 제작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로 제2의 도약 기대

40년 전통의 전문 유초등 교육업체 다비수(대표 최갑숙)가 웹툰 및 무빙웹툰 전문 제작사 드림픽쳐스21(대표 김일권)과 손잡고 새로운 블루오션 시장 개척과 해외 시장 진출을 겨냥해 포괄적 협력 계약서를 체결 했다고 15일 밝혔다.
금번 계약은 양사가 그간 축적되어온 풍부한 콘텐츠 보유와 기술특허를 상호 인정함으로써 체결되었다.
기존 어린이 교육 콘텐츠를 무빙웹툰화 시켜 비쥬얼화 하여 아이들의 흥미를 유도시킴으로써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는 전략이다.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드림픽쳐스21은 2000년 초부 터 100여 편의 애니메이션, 웹툰, 무빙웹툰 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해 온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다.
최근에는 한국외대 서울평생교육원과 공동으로 ‘2024 웹소설 작가 양성과정 아카데미 과정’를 개설ㆍ운용해 오고 있다.
다비수(디지털)업체는 아이들 스스로 다양한 비법을 생각해 수의 원리를 스스로 깨우치게 하는 사고력 연산 학습 프로그램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업체로, 한국 어린인들과 한글을 습득하려는 외국인을 위해 K글을 개발한 전통있는 교육업체다.
K글은 전 세계 소리글자의 표준이 될 것을 비전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 드림픽쳐스21 김일권 대표는 "다비수의 연산법과 K글 핵심 콘텐츠를 수강생의 학습 성과를 유발시키기 위해 기존 교육 콘텐츠를 무빙웹툰화 시켜 글로벌화 시키겠다"고 밝혔다.
다비수가 보유한 교육 컨텐츠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학습 교재를 오프라인으로 가지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온라인화 시키고 킬링 콘텐츠는 무빙웹툰화 시킨다는 구상이다.
드림픽쳐스21은 향후 제작한 양질의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해외 어린이전문 교육 플랫폼과 딜라이브 OTT를 통해 공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특별 기고]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국힘 전당대회!
- 동아제약, ‘박카스맛 젤리’ 라이즈(RIIZE)와 함께한 부산 팬사인회 성료
- 중국, 2024년 상반기 경제성장률 5% 기록
- 영국 석유 회사 예측: 글로벌 석유 수요, 내년 정점에 이를 가능성
- 베트남과 러시아, 액화천연가스-원자력 합작 추진
- 몽골, '균형 외교' 적극 추진
- 롯데센터하노이 10주년 기념 행사 성료
- Na Kyung-won, former vice chairman of the Low Fertility and Aging Social Committee, is elec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video "Congratulations on the World Children's Taekwondo Union's Mer
- Poker Champions Tour, 'Season4 BUSAN' Competition, New Year's first competition is over
- 삼성전자, CES 2024서 OLED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3종 공개
- [월드e] 캄보디아, 15억 달러 규모 석탄 프로젝트 취소
- [월드e] 이탈리아, 캐시미어 원사 생산을 위한 공장 설립 프로젝트 지원 예정
- 한국핀테크연합회, 'Hyper 분산AI GO' 국제공인과정 개설
- Park Sung-jin, CEO of WKC, "A symbol of K-pop, will create a new holy place for 'K-Mice'."
- [월드e] 베트남 디지털 기업 공동체, 세계를 향해
- (사) 국제마인드스포츠협회, 이세돌9단과 윤성근 부회장의 홀덤을 통한 새로운 도전
- KB유니콘클럽, 3기 10개사 선정 완료
- [월드e]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 2025년 상원 조사에서 인기 1위
- [기고] 한국 전쟁과 외국 참전용사의 헌신
- 벤처협회 대구경북지회-바이오텍, 벤처기업 성장 지원하는 업무협약 체결
- 몰로코, 미디어 사업자용 디지털 동영상 광고 플랫폼 출시
- [기고] '춘래불사춘' 같은 한중 관계, 긴 호흡으로 '구존동이' 견지
- 제5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 일본 대표팀 우승컵 차지
- 2022년 국민 동영상 앱은 ‘유튜브-넷플릭스’
- [기고] 한국인의 기부문화와 공존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