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사업화 MoU 체결

국립금오공과대학교(총장 곽호상)이 NFT 및 메타버스에 대한 글로벌 이슈와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기술 개발 등에 대한 공동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산학협력 워크숍을 개최했다.
지난 9월 28일과 29일 양일간 국립금오공과대학교(이하 ‘금오공대’) 산학협력관 대회의실에서 금오공대 ICT 융합특성화연구센터(센터장 김동성) 주관으로 열린 ‘메타버스 R&BD를 위한 국제 연구 개발 산학협력 워크숍’에는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의 AI 기술 파트너인 메타몽키 AI(MetaMonkey AI) 대표 어거스틴 고일(Augustin Gohil)을 비롯해 마케팅 이사 오즈솜 오스틴(Auzsome Austin)과 고문을 맡은 엔드류 차(Andrew Cha), 그리고 코그니고(Cognitgo)사, ㈜엔에스랩,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메타몽키 AI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위한 AI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코그니고는 자동차, 헬스케어,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NFT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금오공대 기술지주 자회사인 ㈜엔에스랩은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토큰 거래 시스템인 ‘퓨어월렛(pure wallet)’과 메타버스 플랫폼 ‘크레티비아(Creativia) 등 메타버스 기반의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다.
이날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와 메타몽키 AI, ㈜엔에스랩 간 MOU 체결을 통해 ▲연구개발 과제의 공동수행 ▲개발 플랫폼의 사업화 및 협력 ▲국제화 및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국가에 대한 기술기여 사업 등에 대해 협력할 계획이다.
금오공대 기술지주 자회사인 ㈜엔에스랩은 ‘퓨어월렛’과 ‘크레티비아’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메타버스 패키지를 개발했는데, 메타몽키 AI와 100만 달러 수출 계약을 추진한다.
메타몽키 AI는 메타버스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하여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금오공대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는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이스라엘의 HW/SW 개발 회사인 트리고Pi(TrigoPi LTD), 미국 코그니고와 업무협약을 맺고 메타버스 기반의 AI 및 NFT 기술개발을 진행해왔다.
김동성 ICT융합특성화연구센터장은 “메타버스 기반의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과 금오공대 기술 지주 자회사인 ㈜엔에스랩의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관련 분야의 기술 개발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과의 공동 협력을 통해 메타버스 관련 자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영역을 더욱 확장하며 기술 개발을 이끌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금오공대, 3개 사업단 출범해 ‘4단계 BK21 사업’ 담당
- 금오공대, ‘리튬화합물 음극 소재’ 개발 성공
- 영일엔지니어링, 금오공대와 가족기업 협약 체결
- 삼성전자, 2018년 임원 및 마스터 정기인사 실시... 부사장 27명·전무 60명·상무 등 총 221명 승진
- 금오공대, 학생부종합전형 설명 ‘2016 학생부종합전형 컨퍼런스’ 개최
- 서울대 등 60개 대학,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 라인의 링크(LN), 일본에서 로컬 NFT 마켓 플레이스 구축
- 이스라엘 대선 막바지… 극우 성향 새 정부 출범 사실상 확정
- 중국, 블록체인 기술과 메타버스 개발 독려..."메타버스 위원회" 가동
- 금오공대, ‘2022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에 1171명 학위 수여
- [Inside] 英 싱크탱크 "이스라엘 텔아비브, 생활비 가장 비싼 도시"
- 인텔, 이스라엘에 250억 달러규모 투자 거래
-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 사장 교체... 인공지능 업무 강화 전망
- 메타, ‘강력한 1년’을 대비해 인력 5% 삭감
- 엔에스이엔엠, 비덴트 인수의지 확고..."기존 엔터·콘텐츠 사업과 시너지 증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