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70%, 러시아 17.8%, 영국 9% 기록
금년 EU 인플레이션 6.8%, 성장률 하향 조정 전망
유럽중앙은행(ECB), 7월 0.25% 금리인상 조치

유럽의 모든 국가가 엄청난 물가 상승에 직면하고 있다.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와 식품 가격이 부분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4월의 7.4%에서 8.1%로 새로운 기록을 경신했다. 유럽연합(EU) 통계청인 유로스타트가 1일(현지시간) 발표한 잠정 추정치는 1997년 유로존에 대한 기록이 시작된 이후 최고치라고 이날 유로뉴스가 보도했다.
터키의 인플레이션은 공식 자료에 따르면 20년 만에 최고치인 70%까지 상승했다. 영국의 인플레이션율은 1982년 이후 최고인 9%까지 치솟았다. 러시아는 17.8%의 인플레이션에 직면해 있다.
가장 가파른 연간 물가상승률은 에너지 가격 39.2%로 4월의 물가상승률(37.5%)보다 높았다. 그 다음으로 음식, 술, 담배(7.5%) 산업재(4.2%) 및 서비스(3.5%)가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는 5월 EU 블록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파올로 젠틸로니 경제담당 집행위원은 이번 경제 성장률 감소는 지금까지 전망치 사이에 이뤄진 것 중 가장 가파른 하락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모스크바와 유럽 대부분의 경제를 강타하고 있기 때문에 EU 전체의 인플레이션은 올해 6.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쟁은 러시아로부터의 석유나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 세계적인 우려를 부채질함으로써 에너지 위기를 더욱 악화시켰다. 그리고 이번 주, EU 지도자들은 러시아 석유의 대부분을 연말까지 금지하기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최근 EU의 석유, 천연가스, 석탄을 가장 많이 공급하는 국가로 에너지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 세계 밀과 보리의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세계 요리에 사용되는 해바라기 기름의 3분의 2를 차지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은 다시 전망을 극적으로 악화시켰다. 우크라이나는 또한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옥수수 수출국이다.
세계은행은 올해 밀 가격이 40%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세계 다른 국가의 일부 은행들의 전철을 밟아 7월에 금리를 인상할 계획이다. 이는 물가에 대한 압박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ECB도 이르면 다음 주 채권 매입 부양책을 공식 종료할 것으로 보인다. 이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필립 레인은 금리가 7월에 0.25% 상승하고 9월에 다시 상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NFT 매거진] 국내 최초 크립토 아이돌 ‘엑시 시스터즈’
- 15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Google Street View"... Which country is the most popular
- [K매거진] COVER STORY / 밴드 PRSNT로 찾아왔어요!
- [K매거진] K-FOOD / 나폴리 피자 세계 챔피언이 만든다
- [Inside] 이집트, 독일 지원 받아 세계 6대 고속철 건설
- [중국망] 주식 종목 (2022년 6월 3일)
- [비전ON]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오염 심각...2060년까지 3배 증가
- [Inside] 러시아 우크라 침공으로 세계 식량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 [월드e] 인도 장마로 설탕 생산량 증가 예측에 글로벌 설탕 가격 하락
- [비전ON] 일본 출산률 1.3명, 6년 연속 감소로 충격
- [Inside] 말레이시아, 국내 닭고기 가격 안정되면 "싱가포르에 수출 재개 곧 가능"
- 미 EPA, 2020~2022 바이오 연료 의무규정 설정, 면책권 거부
- [Inside] 미국 5월 일자리 증가 긍정적, 실업률 3.5%
- 하이브로의 드래곤빌리지X, 600일도 앞두고 서비스 종료
- EU 중앙은행, 인플레 잡기 초집중… 금리 인상 예고
- 러시아, 대인도 석유 공급량 20배 이상 증가
- 유로스타, 브렉시트 국경 검사로 여객 통행 지연... 여권 도장 찍는데 15초 더 소요
- 유가 쇼크, 유럽중앙은행 금리인상 자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