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 발칸 반도 국가에서 시위 확산 조짐
알바니아, 우크라 사태'후 석유 60% 급등
석유 가격 하락을 위해 원유세 부과 철회 요구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소득세 인하 조치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우크라이나 사태로 치솟는 연료와 식량 비용은 알바니아에서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다. 이에  정부는 가격 통제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AP, AFP 통신에 따르면 이날 알바니아 티라나 시내의 중앙 스칸데르베그 광장에 수천명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대가 운집해서 일주일 동안 국내적으로 40% 이상 오른 연료 가격 인상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고 전했다. 시위참가 군중들은 플래카드를 들고 에디 라마 총리의 내각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며 정부 청사로 행진했다고 덧붙였다.  

최근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시는 키예프(키이우)에 대한 지지의 표시로 러시아 대사관 거리의 이름을 '자유 우크라이나'로 바꾸었다.

이날 시위대는 저소득 가구에 대한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원조 프로그램 도입과 세금을 인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알바니아 정부는 11일 오후 '사회저항 종합대책'을 채택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여전히 원유 제품에 대한 의무세를 유지했다.

이날은  세르비아를 비롯한 서부 발칸 반도 6개국의 여러 도시에 영향을 미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한 지 나흘째 되는 날이다. 알바니아에서는 평균 월급이 490유로(약 66만원) 수준이다.

이미 낮은 수준이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시장 불안과 러시아 침공에 대한 대러 경제 제재로 알바니아인들의 구매력은 급등하는 생필품과 식료품 물가  상승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있기 전 1리터 디젤의 가격은 180 르커(1.5유로·2025원)였지만, 이날 1리터의 디젤은 현재 최고 290 르커(2.37유로·3200원)이다. 디젤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 돌입 전 대비 약 60%가 상승한 셈이다. 현재 한국의 경우 13일 현재 휘발유 1리터 당 1978.17원으로 고시되어 있어 약 1.6배가 높다. 

12일(토요일) 시위가 끝난 직후, 라마 알바니아 총리는 연금 수급자들과 취약계층에게 현금 지원금 제공과  전체 민간과 정부 부문 직원의 절반 이상에 대한 소득세 인하도 공약했다. 그러나 시위자들은 "정부의 연료 가격 인하 조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매일 시위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연료가격 급등에 이어 최근 공급제한으로 세계시장에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식품가격 급등이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두 나라 모두 농산물, 특히 밀의 주요 수출국이다.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미 국내 식량난에 대처하기 위해 밀 수출을 금지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