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진구 기자] 전세계는 4차산업혁명 주도권을 잡기 위해 Initiative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일본은 제조/공장 중심(Factory creats value)의 독일 모델, 데이터/첨단 산업 중심(Factory creats value)으로, 미국은 모델, 로봇/인간 지식중심으로 4차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독일은 기계 등 전통 제조업 강점을 활용해 4차산업으로의 확장성을 다지고 있다.
일본, 미국과 차별화하기 위한 한국형 모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국내 주력산업이 현 생태계 구조 및 성공 방정식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성장의 한계가 드러나고 위기가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은 70년대 이후 빠른 추격자 전략의 성공으로 Front-runner 그룹 진입에 성공했으나, 향후 새로운 질서 하에, Front 그룹을 유지할 지 아니면 낙오될 지의 갈림길에 놓일 상황이라는 우려다.
국내 주력산업은 4차 산업혁명에의 적응력을 높이고,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경쟁력 확보와 성공방정식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핵심 컨셉이 'ICC'다.
선진 제조 강국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정책과 차별화할 수 있는 한국형 모델로서 ‘연결과 협력’, 이른바 'ICC(Industrial Connection & Collaboration)'핵심 컨셉으로 부각된다. 주력산업의 축적된 강점을 연결하고, Soft Power 등 새로운 성공동인을 강화하며, 당면한 산업적 과제를 해결하는 한국형 4차 산업혁명 프레임워크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축적된 강점을 극대화하고, 다른 산업에 이전, 활용하는 역량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산업간 횡단연결을 위한, 기술 및 플랫폼 역량 ▲창의성 지향, 脫 경계 등의 소프트파워를 강조했다.
여기서 중국의 4차산업 정책도 주목해야 한다.
중국은 “인터넷 플러스”, “중국제조 2025” 등 인더스트리 4.0과 스마트팩토리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4차산업혁명 변화기에 직면하여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다. 이를 위해 중국은 정상회담 및 합작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독일과 적극 협력하고 있으며, 철강산업에도 스마트 팩토리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인더스트리4.0 정책은 최근 몇 년간 제조업 성장이 크게 둔화되자 중국 정부는 20’11년 이후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왔다.
2015년 발표한 ‘인터넷 플러스’ ‘와 ‘중국제조 2025’는 독일의 ‘인더스트리 4.0’과 미국의 ‘산업 인터넷’ 개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제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산업구조 고도화를 달성함으로써 대외 영향력까지 높이려는 중장기 전략이다.
중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선도국 중에서 제조업 기반이 강하고 정부와 민간의 협력체계가 잘 구축된 독일을 주목, 정상회담을 통해 협력 강화했따.
지난 2014년 11월 리커창 총리는 독일 방문기간에 ‘독∙중 협력행동강요: 공동 혁신’을 발표했다. 양국이 인더스트리 4.0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자는 취지다.
이어 2016.9월 중국과 독일은 정부 간 합의와 기존의 합작경험을 바탕으로 산업협력, 표준화 구축, 시범단지 및 인재양성 등에서 14개 시범 합작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중국 기업들도 이와 같은 정부정책에 동참하고 있다.
가전업체 하이얼은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해 인원 57%를 줄였고 생산라인의 설비능력을 80% 높였으며 주문 생산 및 배송 시간은 47% 단축했다는 결과도 발표됐다.
보산강철은 국가 스마트 제조 시범 사업인 ‘열연 스마트 공장’을 완성하고 보강 내 모든 공장을 스마트 제조화한 후 중국 전체에 지멘스와의 합작모델을 확산하고 있다.
이 회사는 스마트 장비, 스마트 공장, 스마트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을 핵심으로 하는 ‘3+1’ 스마트 철강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기도 했다.
강소성의 사강은 ’2016년부터 추진하는 로봇 프로젝트를 가속화하여 ’20년 사강에서는 1000~1500개 로봇이 인간을 대체한다는 목표를 설정. 또한 ’20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12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은 중국의 움직임속에 한국 기업들도 관련 분야에서 중국기업과 합작 사업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제기된다.
단 중국업체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술과 네트워크 보안 및 잠재적 경쟁자가 양성될 수 있는 가능성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 1회 480km 주행가능 배터리 개발부터 친환경차 플랫폼 구축까지...미래차·그린카 선점에 '안감힘'
- SK텔레콤 5G 커넥티드카 ‘T5’, 글로벌 대표 협력 사례로 우뚝
- 로보어드바이저, 이달부터 투자일임 등 서비스 제공...23개 업체 28개 알고리즘 공개테스트 통과
- SKT '누구’, 대화량 1억 건 돌파...인공지능을 넘어 친구로 자리 매김
- 도시바-토요타 계열 자동차 부품사, 자율주행차 관련 협업 논의... 반도체 사업 매각후 성장사업으로 부각할까
- 퀄컴, 아이폰 제품 미국 수입금지 조치 ICT에 요청...특허 갈등 압박용 카드로 해석
- 무궁화호 7호 발사.... KT SAT "한국·필리핀·인도네시아·인도차이나·인도 등 커버리지 확대"
- 미 하원, 자금줄 봉쇄 등 고강도 대북제재 압도적 표차로 통과...북한 국외 노동자 고용도 금지
- 농심, 고급 요리 개념의 ‘카레라이스 쌀면’ 출시..."진하고 푸짐한 카레와 건강한 쌀면이 만난 든든한 한끼"
- LG전자 "웹OS 3.5 의 ‘앱 보안 기능’에 대해 CC인증 획득... TV 업계 최초 EAL2 등급"
- 5월초 실구매가 10만원대 후반까지 내려간 갤럭시S8... 연휴기간 12만명 번호이동
- 페이스북, 인도 와이파이존 2만개 구축...현지 통신사와 제휴 확대
- 드론·빅데이터 스마트 기술로 철도 안전 높힌다...스마트 철도 안전
- 로봇의 업무대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 일본...업무의 30%는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 있어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개막
- WEF, '지속가능한 등대공장'으로 하이얼전자 지정
- 中강소성 염성시, 한중 여행업계 교류회 및 중국 염성시 산업 협력 교류회 성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