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미정 기자] 드론·빅데이터 등 스마트 기술로 철도의 안전을 높힌다.
드론을 이용해 교량 밑 부분까지 꼼꼼히 살피는 등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스마트한 기술을 이용해 우리나라 철도 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 기본계획을 국토교통부가 올해 11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작년 열차 탈선사고, 승강장 안전문 사고 등이 빈발함에 따라 국민의 불안감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또한, 최근 집중호우, 폭염 등 기상이변, 지진발생 등 자연재난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선제적인 안전관리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에 마련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국내 철도안전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고 철도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제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을 이용, 기존 통계를 분석해 향후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고에 적극 대비하고, 집중 관리를 할 것이다. 또한, 문제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을 활용해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의 대상 분야는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인적관리, 차량관리, 운행관리, 시설관리, 보안 관리의 6개 분야를 선정했다.
이와 더불어 철도안전정책관을 팀장으로 국토교통부, 제4차 산업혁명 전문가, 철도연구기관 연구원, 철도운영자·시설관리자*를 중심으로 임시 조직(T/F)을 구성하여 다양한 의견도 수렴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남영우 철도안전정책과장은 “올해 마련될 스마트 철도안전 기본계획은 향후 우리나라 철도안전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계기될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해에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철도건설현장 가운데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교량이나 건물 등 위험 작업 현장 안전점검에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했다.
철도공단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해선 등 5개 철도건설현장 안전점검에 드론을 투입하여 시범운영을 한 결과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모든 건설현장으로 확대 적용키로 했다.
철도공단은 드론을 활용함으로써 인력이 위험을 감수하며 직접 확인해야 했던 고가작업 현장이나 해상교각 안전점검 실시에 접근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일부 공사현장은 드론이 촬영한 화면을 보고 안전관리 상태를 모니터링 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 효율성과 비용절감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터널 발파현장의 위험요인 확인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밀폐공간 산소농도 측정 등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 페이스북, 인도 와이파이존 2만개 구축...현지 통신사와 제휴 확대
- 퀄컴, 아이폰 제품 미국 수입금지 조치 ICT에 요청...특허 갈등 압박용 카드로 해석
- [4차산업 글로벌 경쟁] 주도권 대결 돌입...중국,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정책 적극 추진
- 1회 480km 주행가능 배터리 개발부터 친환경차 플랫폼 구축까지...미래차·그린카 선점에 '안감힘'
- SK텔레콤 5G 커넥티드카 ‘T5’, 글로벌 대표 협력 사례로 우뚝
- 로보어드바이저, 이달부터 투자일임 등 서비스 제공...23개 업체 28개 알고리즘 공개테스트 통과
- KT, 공항철도에서 5G 필드 테스트 성공
- SKT '누구’, 대화량 1억 건 돌파...인공지능을 넘어 친구로 자리 매김
- 작년 영업손실만 수백억원대 팬택....LG전자로의 매각설 '솔솔'
- 로봇의 업무대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 일본...업무의 30%는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 있어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개막
- 세계 시장에 승부수 던진 일본 전기자동차(EV) 충전기 규격...‘오픈플랫폼 전략’으로 국제 표준화 도전
이미정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