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과학기술 분야 국제협력 지원 전담기관 역할

지난 11월 18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과학기술 분야 국제협력 총괄 거점인 ‘K-퀀텀국제협력본부’ 수행기관으로 공식 지정됐다고 밝혔다.
‘K-퀀텀국제협력본부’는 양자과학기술 분야 국제협력 지원 총괄기관으로서 국제공동연구개발 기획‧활성화, 해외 협력체계 구축, 국내 협력체계 구축을 3대 중점 추진 방향으로 삼고 있다.
지정기간은 5년이며 연간 15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국제협력 정책 수립‧시행 지원 ▲국제 연구개발 프로그램 추진 ▲산・학・연 국제협력 활동 및 해외 진출 지원 ▲현지 정보 수집‧분석 및 한인과학자 지원 역할을 수행한다.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산업생태계의 판도를 바꿔놓을 ‘게임체인저 기술’로 꼽힌다.
세계 주요국들은 양자 분야의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는 한편, 기술 우방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양자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양자기술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를 빠르게 줄이기 위한 전략적 국제협력의 일환으로 미국과 유럽 지역에 한-미 양자과학기술협력센터와 한-유럽 양자과학기술협력센터를 설립해 해당 권역의 양자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KRISS의 신설조직인 ‘K-퀀텀국제협력본부’는 기존 운영 중인 권역별 양자과학기술협력센터(한-미, 한-유럽)의 총괄거점으로서 본부-센터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양자과학기술 분야 국제협력 활성화와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국가 양자과학기술 발전을 이끄는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원 내 ‘초전도양자컴퓨팅시스템연구단’과 ‘양자기술연구소’를 운영해 50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팅 개발을 포함한 양자 기술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양자 국가기술전략센터’로 공식 지정되어 국가 양자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정책・전략을 수립하는 싱크탱크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호성 KRISS 원장은 “K-퀀텀국제협력본부가 양자과학기술 분야 글로벌 네트워킹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독일 윌리히 슈퍼컴퓨팅 센터, 파스칼(Pasqal)로부터 100큐빗 양자컴퓨터를 도입
- 상지대 최기일 교수, 국방 활용 양자컴퓨팅 기술 강연
- 충남, ‘수소충전소’ 실증 사업 착수
- 공공기관의 신입초봉은 3,728만 원, 한국원자력이 5,300으로 최고액
-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 “국회 양자정보통신포럼 창립식 및 미 허드슨연구소 아서 허먼 박사 초청 특별대담” 공동주최
- [급성장하는 나노의약 산업④] 세계 시장 80% 벤처기업이 차지···한국 도약 '기대'
- [급성장하는 나노의약 산업①] 연평균 13%씩 시장 확대...신생기업들도 상용화 경쟁
- 슈퍼컴 성능의 1억배 '양자컴퓨터' 연구개발 봇물살...국내외 정부·기업 현황은?
- [합성 탄소화합물 플러렌 ③] 제조원가 절감 · 신규 용도개발 필요
- 꿈의 보안 '양자암호통신'...글로벌 기업들, 대대적인 기술개발 '각축전'
- 20대 총선 비례대표 경쟁률 3.36대1...158명 등록
- 연봉 최고 공공기관장은 기업은행장...5억원 넘어 - 이노근 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