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 당 1,000~2,000만 원 지원 예정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100억 원 규모의 회사 기금을 조성해 우리사주를 매입한 직원들의 대출을 지원한다.
지난 10월 5일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이사와 직원들은 사내 간담회를 마련해 회사 현안, 발전방향, 주가 부양방안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는 이 자리를 계기로 100억원 규모 회사기금을 조성해 우리사주를 매입한 직원들을 지원해주기로 결정했다.
이는 현재 급락하는 카카오뱅크의 주가와 높아지는 대출이자가 부담되는 카카오뱅크 직원들을 배려하는 의도로, 직원 당 약 1,000~2,000만 원을 회사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는 10월 11일 기준 거래일 대비 550원(3.00%) 하락한 1만 7,80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2021년 8월 18일 기록한 장중 고점인 9만 4,400원 대비 81.8% 하락한 수치다.
카카오뱅크 우리사주에 투자한 직원들은 이러한 상황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8월 6일 상장한 카카오뱅크 주식 중 19.5% 가량인 1,274만 3,642주가 카카오뱅크 우리사주로 분류되어 있다.
직원들은 공모 3만 9,000원에 1인당 최대 1만 4,481주를 매입할 수 있었는데 1인 평균 1만 2,500주(약 4억 9,000만 원)를 매입한 것이다.
우리사주조합은 공모 물량은 최대 20%를 우선 배정받아 최대 한도를 채웠고, 우리사주의 보호예수 기간인 1년이 지나지 않아 처분이 불가능했다.
지난 10월 11일 기준 지원 당 손실액은 2억 6,500만 원에 정도로 일부 직원은 약 8억 원을 청약해 손실액은 4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대다수 직원이 많게는 수억원을 대출받아 우리사주에 투자했다는 것이다.
보호예수 해제 이후 담보 비율(우리사주 대출의 경우 60%)을 유지하지 못하면, 주식이 반대매매 위기에 처하는데 강제 청산을 막으려면, 추가로 담보를 납부하거나 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 대출을 끌어와 담보를 채우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카카오뱅크는 윤 대표가 직접 나서 주주환원정책을 잇달아 펼치고 있다.
이에 윤호영 대표는 2022년 회계결산에 대한 주주총회 승인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 등의 주주환원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직원들 역시 책임경영을 위해 자사주 매입을 지시하며 12명의 임원들이 10월 6일과 10월 7일 양일간 자사주 총 5만 685주를 매입했다.
이들 임원이 최근 매입한 주식 수는 8만4370주로 주가 부양과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임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게 카카오뱅크 측 설명이다.
관련기사
- 카카오, 카카오뱅크 추가 출자키로...'한투 실권물량' 취득
- "카카오뱅크 5천억원 유증이 최대주주 한국금융지주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 - 하나금융투자
- 한컴시큐어, 케이뱅크에 이어 카카오뱅크에 암호 키(Key) 관리 솔루션 공급
- 롯데-카카오뱅크, 새로운 금융·유통 모델 선보인다...계좌기반 결제모형 개발
- 인터넷전문은행 첫사업자에 카카오뱅크 · K뱅크 두곳 선정
- KB국민은행, '카카오뱅크'에 합류
- 케이뱅크, 3일 영업시작 ·카카오뱅크 5일 본인가 예정... 치열해지는 중금리 금융시장
- 카카오, ‘2022년 상반기 기업집단 설명서’ 발행
- 카카오뱅크의 개인사업자 뱅킹, 1달 만에 고객수 13만명 돌파
- 금리 충격에 대비한 갈아타기 상품에도…시장 반응은 미적지근해
- 카카오, 챗GPT의 등장을 기회로 삼을 심산…대화형 AI를 카톡에 접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