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 정치국상무위원과 정치국위원 인사에 대해 노코멘트
미중간 물리적 충돌 원치 않아... 양국 정상회담 시도 중

미국 관리들은 시진핑이 중국 공산당 20차 대회에서 권력을 공고히 했다고 해서 베이징에 대한 미국의 입장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국 고문들은 바이든 대통령과 중국 최고지도자의 대면 회동을 주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싱가포르 연합조보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마이크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월요일(10월 24일) 기자회견에서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 폐막과 관련 지도부의 변화는 "우리의 대중(對中) 전략을 바꾸지 않는 것"이라며 "안보 문제를 놓고 경쟁하면서 가능한 어떤 분야에서든 중국과 글로벌 문제에 협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프라이스는 "기후변화와 글로벌 보건, 마약 금지 및 확산 방지 등 우리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분야에서 중국의 협력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앞서 "미국은 중국 지도부의 임명 절차와 인선에 대해 공식 논평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최고지도자급에 포함해 소통 채널을 개방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 달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에 시 주석을 만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구체적인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으며 취임 후 첫 대면 회동에서 어떤 성과를 내길 원하는지도 불분명하다.
지난 8월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중 관계가 더욱 악화되었다.
인민해방군은 대만 섬을 둘러싸고 일련의 군사훈련과 미사일 시험발사를 벌여 미국과 동맹국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커비 대변인은 "중국이 이에 대해 실무 차원의 소통과 양자 접촉을 차단한 것은 여전히 유감"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측으로선 대만 문제를 놓고 어떤 행동이나 충돌도 있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국 역시 중국과의 물리적 충돌을 원치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
관련기사
- [월드e] 베트남 비료 수출 총액, 사상 최고치 기록
- 中 신형 기술관료 중용... 우주항공·방산 분야 강화
- 외교부, 美IRA 세부규정 협의... 내달 4일까지 의견 제출
- [기고] 전주 한국소리문화전당의 변화
- TSMC 회장, 직원들에게 휴가독려... 주가 4% 넘게 하락
- 테슬라, 중국서 가격 인하... 전기차 시장경쟁에 능동적 대응
-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계속 상승... 1949년 이래 가장 큰폭
- 바이든 美대통령, 이태원 희생자 “깊은 애도” 성명 발표
- 미 하원, 중국 ‘개도국 지위 박탈’ 법안에 만장일치로 통과
- 中 시진핑, 바이든에 “한반도 충돌·혼란 발생 용인안해”
- [기고] “친중(親中)”머스크는 왜 “반중(反中)”트럼프의 치어리더가 되었을까?
- 한중 관계 훈풍 조짐, 방중 한국인수 대폭 증가 추세
- 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 [기고] 3년 내리 하락한 중국 증시의 아킬레스건은 "소심"! ....언제 회복?
- 옐런 미 재무장관, 2024년 방중 예정... 베이징과의 '소통 강조'
- 옐런 미 재무장관, 미-멕시코 공급망 협력 위해 멕시코 방문
- 미-중, 바이든-시진핑 내달 회동 '원칙 합의'
- [비전 인싸이트] 중국 경제 어디로 가나-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 [기고] 중국에 반도체 장비 반입 가능, "굳건한 '한미동맹'과 '미중 관계개선' 덕분"
- 신(新) 냉전체제 속 등장한 중동의 새로운 패자(覇者)
- 중국,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자본 통제 완화
- 영국, 경제 우선 정책으로 중국과 관계 회복에 나서
- [비전 인사이트] 정교하지 못한 '탈중국' 시도 실익 없다
- [기고] 벽계원(碧桂园)이 쏘아올린 중국 내수경기의 Turning Point
- 중국,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령으로 가격 급락
- 뉴질랜드, 계속 독자적인 "친중 정책 추구"
- 미-중 왕복 항공편 증편... 이례적 상호 협력 조짐
- [기고] 중국 PMI, "9"가 "0"보다 좋은 이유
- [기고] 국제외교와 소리장도(笑裏藏刀)
- 중국, 펠로시 대만 방문 관련 대규모 실탄 훈련 감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