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초, 당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 달러 같은 법정화폐에 고정 가치를 부여하여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 암호 화폐)의 일종인 테라(TERRA)와 이를 담보 성격으로 보완하는 루나(LUNA) 코인이 -99.99% 수준으로 대폭락하면서 일주일 만에 시가 48조 이상 추정 가치가 사라지는 희대의 사건이 발생했다.
코인 시장의 위기가 가시화되자 NFT 가격에 대해 거품 논란으로 불똥이 튀었는데 NFT의 대표적인 컬렉션인 ‘크립토펑크’나 ‘지루한 원숭이 클럽(BAYC)의 평균 가격은 6월 8일 기준 전달에 비해 46~47%대 하락했고 NFT나 NFT를 활용한 메타버스(Metaverse) 테마로 이어지는 주식과 파생상품들도 약세를 면치 못하는 수준으로 치부되었다.
이처럼 상황이 점차 심각해지자, 정부 차원의 조치도 자연스레 요구되는 양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와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는 14일 가상 융합경제의 확산에 따라 대두되는 보안 이슈를 점검하기 위해 메타버스, NFT 보안 협의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협의체에는 통신사와 인터넷 포털, 은행, 블록체인 업계 및 보안 기업 등 총 25개 기업과 메타버스산업 협회, 정보보호 산업 협회가 참여했다.
협의체는 위협, 보안 기술 및 피해 사례를 분석, 공유하고 다양한 보안 이슈의 사전 대응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며, 과기부의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대응 연구반과 연계해 운영될 예정이다.
장신신 기자 kiraz0123@nvp.co.kr
관련기사
- 코드 컨퍼런스 2022 “거대한 응전이 시작되다”개최
- 파나소닉홀딩스, 미국에 EV배터리 공장 확장 예정
- 인도 법원, 비보 은행 계좌 해제 허용... 95억 루피 담보 요구
- NFT 월드, 홀더 특강 첫 강의
- 컬러레이,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전시회 참가... 뜨거운 반응 보여
- 태국 제조업과 서비스업, 약 50만 외국인 노동력 부족
- 인도네시아, 쌀 자급자족 실현 선언...종자 개량 강조
- [기고] 당신은 보신탕을 드시는지요?
- NFT 세계 최대 거래소 ‘오픈씨’, 구조조정
- 신인 아티스트들을 위한 제1회 Various 아티스트 콘테스트가 열리다
- 인스타그램의 NFT 기능, 100개국으로 확대
- KITIA, ‘테크파인더’로 해외 유망기술에 대한 DB 제공
장신신 기자
kiraz0123@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