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중앙은행, 미 달러, EU 유로 보유량 삭감, 중국 위안화 증대
중국, 브라질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 주목, 미국 뛰어넘는 최대 무역 협력국
외화 보유 다양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수익률 하락, 2015년 이후 최악

브라질 중앙은행은 은행 외화 보유고에서 미 달러와 유럽연합 유로의 보유량을 삭감하고 브라질의 최대 무역 국가 중 하나인 중국의 위안화의 보유량을 4배 이상 증량하기로 하였다고 0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하였다.
이에 2018년까지 브라질 중앙은행 외화 보유고의 1.21%를 차지하였던 중국 위안화는 2020년 말 4.99%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로서 중국 위안화는 브라질 중앙은행에서 미 달러 80.34%, 유럽연합 유로 5.04% 에 이어 3번 째로 많은 보유고를 확보하였다. 한편 미 달러는 기존 86.03%에서 약 6% 감소하였다.
세계은행 (The World Bank)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글로벌 무역의 28%를 차지하는 브라질에 대한 경제적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두 번째 최대 무역국인 미국의 두배 이상의 수치이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또한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화, 호주 달러화, 금 등 다양한 금융자산에 대한 보유량 역시 기존보다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연차보고서에서 “2021년에, 우리는 포트폴리오 전체의 경기부양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통화들의 보유량 배분을 더 다양화하려고 하였습니다.”라고 말하였다.
브라질 중앙은행의 외화 보유 다양화 시도로 인하여 현재 브라질 중앙은행 외화 보유량은 지난해 6.58억 달러 증가한 총 362.2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또한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0.62% 하락하여 2015년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포트폴리오 내 다른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의 강세 때문이라고 분석되었다.
뉴욕(미국)= 김덕희 기자 ajtwoddlejrg@nvp.co.kr
관련기사
- 유로존 물가 전년 대비 7.5% 상승...25년 만에 최대
- [비전ON] 러시아-우크라 휴전 협상기대 약화...달러가치 및 금값 상승
- 급락하는 엔화…우리 수출 경쟁력 하락 우려
- 러시아 도와 제재 받은 벨라루스, 중국 위안화로 외환 증권 거래 준비
- 사우디-중국, 원유거래시 위안화 결제 논의
- 독일, 작년 수출실적 역대 최대...14% 증가
- [Inside] 영국, 물가상승률 8% 예측... 30년 이래 가장 높은 상승세
- 中 엄격한 ‘봉쇄정책’으로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5% 이하"
- 러시아, 브라질에 경제 제재 돌파 위한 조력 요청
- [Inside] 이스라엘, 처음으로 위안화를 외환보유액 포함...2% 비중 차지
- 11월 외화 예금 ‘역대 최대’…기업들도 달려 유치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