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은 대러 제재에 반대 표명
대만문제와 관련 미국은 중국의 협박에 우려 표시,
중국은 미국의 대만문제 개입에 경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바아든 미국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상회의를 갖고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중국의 대러 지원문제 등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8일(현지시간)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 언론들은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8일(현지시간) 화상 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약 1시간 50분 동안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대통령대변인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바이든은 중국이 러시아에 물질적인 지원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또 “바이든과 시진핑이 위기의 외교적 해결에 대한 지지도 강조했다”고 언급했다.
미중 양국 정부가 시진핑이 바이든과의 협의에서 대러 지원에 어떠한 태도를 표명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무기 등을 제공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미국측 설명에 의하면, 양국의 수뇌는 회담의 태반을 우크라이나 정세에 관한 화제로 채웠으며, 러시아의 침공이 중미관계나 국제질서에 주는 영향도 논의 했다고 한다.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은 지도자간의 논의를 긍정적인 발전으로 보고 있다." 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특정 러시아 기업, 은행과의 무역 및 금융 거래를 금지한바 있다. 따라서 위반하면, 외국 기업과 외국인을 처벌하는 '2차적 제재'가 부과되고 제재 대상 기업과 은행과 거래할 경우 중국으로도 제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시 주석은 "전방위적 무차별 제재로 피해를 입는 것은 서민"이라며 대러 제재에 반대했다. 양국 정상회담은 2021년 11월에도 가진바 있는데, 러시아 침공 이후로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국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각 당사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대화를 지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러시아와 직접 협의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의 안보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비판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동방 확장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대만 문제도 의제가 되었다. 바이든은 중국과 대만 본토가 분리할 수 없다는 중국의 입장에 이견을 보이지는 않는 한편, 대만의 안보와 관련된 '하나의 중국' 정책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바이든은 대만 해협에서 중국의 협박과 도발적 행동에 대해 다시 한 번 우려를 표명했다.
반면에 시 주석은 "대만 문제가 잘 처리되지 않으면 미·중 관계에 파괴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한 어조로 경고했다.
이는 미국이 대만 유사시에 개입할 태세를 엿보고 있다는 사실 등에 결정적 자극을 주려는 저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러시아 도와 제재 받은 벨라루스, 중국 위안화로 외환 증권 거래 준비
- [비전ON] 러시아,100년만에 국가부도(디폴트) 선언 임박
- 틱톡, 미-러간 '여론전 도구' 되나
- 젤렌스키 “나토 가입 불가능” 인정...나토의 ‘적극적 지원’ 호소
- 러시아 ‘맞대응’ 차원... 미국 바이든 대통령 포함 13명 제재
- [월드e] 베트남 매체, "남중국해 영해 주장을 위한 중국 군사 훈련" 보도
- [비전ON] 예멘, 인구 80% ‘기아 상태’ 직전...걸프 부국들의 ‘손절’과 우크라 사태 영향
- 노르웨이, 러시아 국경 전투력 강화...국방비 추가 증액
-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저가 구매...미·인 관계 ‘소용돌이’ 되나
- '전전긍긍' 몰도바... "우크라 침공 다음 목표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