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복으로 무장한 한 작업원이 지난 2월10일 일본 후쿠시마(福島)현 오쿠마정(大熊町)에 위치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동일본대지진으로 멜트다운 된 원자로 1호기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작업복으로 무장한 한 작업원이 지난 2월10일 일본 후쿠시마(福島)현 오쿠마정(大熊町)에 위치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동일본대지진으로 멜트다운 된 원자로 1호기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 처리수를 바다와 대기로 방출하는 방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3일 전문가 소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정리안을 발표했다. 

앞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켰던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 처분 방법이 해양방출, 수증기방출 및 이들 두 가지를 병행하는 안 등 3가지로 좁혀졌다. 

이는 한국 정부가 강하게 반대해온 방식이어서 일본 정부의 강행 여부에 따라 한·일 외교 갈등이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니혼게이자이 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두 가지 방식으로 처분할 계획이다. 현재 원전 오염수를 정화한 뒤 탱크에 저장 중인 '오염 처리수'를 물에 섞어 바다로 내보내거나, 가열해 수증기 형태로 대기 중에 방출한다는 것이다. 다만 소위원회는 "방출 시기나 기간은 일본 정부가 책임을 지고 결정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일본 정부가 2016년 11월부터 가동 중인 오염수처리대책위 전문가 소위원회는(2016년 11월부터 가동)는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의 방출을 전제로 △물로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 방출 △수증기 방출, △두 가지를 병행하는 제3안을 함께 제시했다. 그간 지층주입, 지하매설, 전기분해 수소방출 방안도 검토돼 왔으나, 결론적으로는 공기 중이나 바다로 흘려보내는 방안으로 가닥이 잡힌 것이다. 이중 해양방출은 해류 타고 주변국 바다로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후쿠시마 1원전은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켰다. 현재 원전 부지에는 1000개에 달하는 대형 탱크에 약 110만t의 오염수(처리수)가 저장돼 있다. 이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하는 상황이다. 도쿄전력 측은 현재 배출 추이로 추산할 경우 2022년 말이 되면 더는 보관할 수 없게 된다며, 오염수 처리 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주변국인 한국은 강력 반대 입장이다. 그동안 한국은 일본에 오염수 처리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국제사회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특히 주변국에는 충분히 설명한 뒤 반드시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지난달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원자력안전 고위규제자회의에서도 이런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일본 측은 한국이 문제를 제기할 때마다 ‘오염수 처리 방법은 정해진 게 없다’며 피해 나갔다. 지난 9월 10일 하라다 요시아키(原田義昭) 당시 환경상이 퇴임을 앞두고 작심한 듯 '바다로 방출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말했을 때도 같은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이번에 해양·대기 방출 방침이 확정된 만큼 한국 정부의 대응 수위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