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삼성전자가 신청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수 있게 되면서, 현대자동차 등 전통적 자동차제조사와 네이버랩스 등과의 시장 경쟁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삼성전자가 신청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1일 밝혔다.
수누버2(SNUber2)로 불리는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자동차는 레이더, 레이저 레이더인 '라이더(LiDAR)' 및 카메라 등을 탑재하고 있다.
차량 자체는 현대차가 만든 그랜저승용차다.
전자업계에서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것은 국내에서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지난해 3월 현대자동차가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이후,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교통안전공단, 한국과학기술원(KAIST), 네이버랩스, 만도 등이 허가를 받은바 있다.
한편 삼성전자가 세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장의 10.8%(2015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는 하만을 올해초 인수한 이후, 앞으로 삼성 제품들과 자율주행차를 연동시켜 소비자들을 삼성 제품 생태계에 붙잡을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그간 나온바 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U+ tv ‘황금연휴 특집관’ 개설
- SK텔레콤, 디즈니-마블 인기 캐릭터 만난 ‘준(JooN) 스페셜 에디션’ 출시
- LG유플러스 멤버십 고객, G마켓 특급 혜택 누린다
- [노마드N] 인터넷기업협회 참여해 만든 단체의 대선후보 정책질의 발표...홍준표 후보만 쏙 뺐나 답을 못받았나
- 아이폰8 올해 출시되지 않을수도...6월말 일부 부품만 폭스콘에 발주된후 제품 출시는 올해 넘길 가능성 제기
-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 한국 경제계 대표로 B20 서밋 참가
- LG CNS, 국내 최초로 전국 단위 유통 매장에 ESL 공급 ...2018년까지 300여개 매장으로 확산키로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 관광 활성화에 적극 나서...우수 스타트업 육성
- '친환경 청정이미지를 지켜라'...에콰도르, 친환경 운송수단 도입에 적극 나선다
- 도시바-토요타 계열 자동차 부품사, 자율주행차 관련 협업 논의... 반도체 사업 매각후 성장사업으로 부각할까
- KT, 공항철도에서 5G 필드 테스트 성공
- 로봇의 업무대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 일본...업무의 30%는 로봇으로 대체될 가능성 있어
김호성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