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반도체 업계의 빅이슈인 퀄컴과 글로벌 1위 자동차반도체기 NXP와의 합병이 무산될 가능성이 연이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퀄컴은 53조원을 들어 NXP에 대한 인수계약을 체결한 바 있지만 NXP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인수가액을 높여야 한다고 재협상을 요구에 나섰다.
엘리엇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엘리엇은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반대하기도 했다.
이와함께 미국, EU, 아시아 등에서 모뎀칩에 대한 특허남용 소송으로 규제당국의 합병 승인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퀄컴은 최근 최대 고객사인 애플과도 법정소송을 진행중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EU는 이르면 이달 9일 퀄컴과 NXP의 합병에 대한 시장 독과점 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지만, 합병으로 인해 독과점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4개월의 추가 조사가 이어지게 된다.
여기에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퀄컴과 NXP의 경쟁업체들은 퀄컴이 중국 정부의 M&A 승인을 얻기 위해 NXP의 무선 스마트카드 칩 기술을 중국 기업에 매각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하며 EU측에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간 중국 정부가 퀄컴·NXP의 합병을 승인하는 대가로 NXP의 특정한 기술 라이선스를 요구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한편 이번 합병이 무산될 경우, 삼성전자는 물론 엔비디아와 인텔 등 자동차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기업들은 경쟁우위의 공룡기업이 나오지 않는다는점에서 긍정적인 소식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관련기사
- 인공지능 DJ가 노래를 틀어준다?!...지니뮤직, AI 음성명령 기능 ‘지니보이스’ 선보여
- 5대 공기 빅데이터 분석으로 주거생활의 틀 바꾼다...SKT ‘스마트홈 에어케어’, 가정 공기질 자동 관리
- [CES 아시아 2017③]현대차-바이두 기술 협력, 커넥티드카에서 더 나아가 자율주행 기술까지
- [CES 아시아 2017②]중국 CES 아시아 행사에 처음으로 참가하는 현대차...바이두와 손잡아 개발
- [CES 아시아 2017①] 아시아 최대 기술산업 행사 CES 아시아...최신 자동차 기술 공개, 국내 기업 참여
- LG화학, 빌게이츠 재단으로부터 소아바미백신 개발에 140억원 지원받아
- 테슬라, 사이드미러 없는 크로스오버 '모델 Y' 만들 새 공장 짓는다
- 개인 패션도 인공지능이 알아서 추천한다...AI 기반 패션 추천 서비스 '원데이텐미닛' 출격
- 진대제 펀드, 야놀자에 600억원 투자...야놀자, "글로벌 혁신 서비스로의 도약 본격화 할것"
- 상온에서 초고속·초저전력 전자소자 작동기술 개발... 부팅없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
- "러시아, 인간형 로봇 표도르 개발·테스트 중"...엑스퍼트, 러시아 첨단기술 선정 발표
- 네이버, '제3회 앙트십 코리아 컨퍼런스' 통해 스몰비즈니스의 기업가정신 사례 소개
- 무학, 베트남 주류기업 인수… 해외시장 출사표
- 중국, 세계 2대 투자국으로 부상
- 서울반도체, 美 K마트와 특허소송 승리...판매중단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