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신승한 기자] 지난해 소득분배가 악화되면서 중산층 비율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은 65.7%로 전년(67.4%) 대비 1.7%p 하락했다.
통계청은 통계의 연속성, 국제비교 측면을 고려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따라 중위소득의 50∼150%를 중산층으로 정의하고 있다.
중산층 비중은 2011년 64%에서 2012년 65%, 2013년 65.6%로 상승했다가 2014년 65.4%로 소폭 하락했다. 2015년 다시 67.4%로 상승했지만 1년만인 2016년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산층 비율 감소는 지난해 우리 사회의 소득분배 지표가 나빠진 영향이라는 지적이다.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2011년 0.311, 2012년 0.307, 2013년 0.302, 2014년 0.302, 2015년 0.295까지 내려갔다가 지난해 0.304로 상승했다.
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하는데, 지난해 지니계수가 상승한 것은 소득불평등 정도가 커졌다는 의미이다.
상위 20% 계층(5분위)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1분위)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지난해 5.45배로 2011년(5.73배) 이후 5년 만에 악화됐다.
사회 전반의 구직난와 내수경기 악화로 인한 자영업 매출 감소 등으로 인해 저소득층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줄어들면서 소득분배가 더 악화된 것이다.
내수 불황과 물가 상승, 임금 감소 등은 중산층에까지 버티지 못하고 탈락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관련기사
- KT "사람을 향한 따뜻한 기술 국내외 알리겠다"... 아시아-태평양 스티비 어워즈 2관왕 달성
- 중소기업청, 본글로벌 스타트업 본격 육성
- 지난해 제조업체 수출 감소...10대 그룹 비중 81%
- 중소벤처기업부 승격 ...중소· 중견기업 '일제히 환영'
- 5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2.0% ↑...식품이 상승 주도하며 서민들 시름 한층 더 깊어져
- 1분기 경제성장률, 6분기 만에 최고... 건설·지식생산물 투자 및 수출이 견인
- 국정위, "통신비 인하 부정적이다"...미래부 업무보고 '보이콧' 선언
- 국민연금, 1만3500오른다는데...상한액' 월434만원 이상-> 449만원' 인상하면 월소득 440인 가입자는?
- 산업부, "美 세탁기·태양광 세이프가드·섬유 반덤핑 조사에 적극 대응"
- 세계은행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2.7%"...신흥국 생산성 둔화 등 하방리스크 경고
- 한국 대미무역흑자 급감 ...흑자대국 순위 9위로 추락
- SKB, 실시간 채널 확대기술 상용화..."주파수 부족 해결"
- 휴젤, 베인캐피탈과 1조원대 경영권 매각 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