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면적 31,000㎡의 물류센터 공급
부산항 물류 경쟁력 제고 및 중소화주 지원 목적

지난 4월 29일 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항 신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2027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4월 30일부터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부산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 배후단지 1단계에 지상 3층, 연면적 31,000㎡ 규모로 건립되며, 총 887억원(국비 266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이 사업에는 로봇, IoT, 빅데이터,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화물 입출고와 보관의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실시간 재고관리 등 효율적인 물류 운영 시스템을 도입, 국토교통부가 인증하는 스마트물류센터 인증(1∼3등급)을 취득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물류 순환 속도는 최대 75% 단축(60→15분), 작업자 생산성 10% 향상, 비용 약 20% 절감 등 화물의 입고-보관-재고관리-출고 과정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의 물류・ICT 기업인 쿨스 스마트풀필먼트㈜가 스마트 물류 설비・장비・시스템을 직접 도입하고, 배송, 보관, 포장, 재고관리 등 종합 풀필먼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체 물량의 50% 이상을 중소기업 화물로 처리해 부산항을 이용하는 중소형 수출입 화주 및 포워더, 스타트업 등 대형 물류 인프라 이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물류비용 절감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기여 6개 선사 선정
- [Inside] 중소기업 수출 역대 최고치 ‘1052억 달러’ 돌파
- 11월 1일~20일 수출입 현황, 전년 동기 대비 27.6% 상승
- 수출입은행, 연간 수출액 739조 웃돌것이라 전망
- OECD, 2021년 한국 성장률 4%로 상향
- 2년간 부산항 노동자 7명 잇따라 사망, 항만 김용균법 추진
- IoT에 이어 AI와의 결합 시작되는 블록체인....'관계 데이터' 처리에 필수 솔루션으로 주목
- 삼성SDS,블록체인 플랫폼 'NexledgerTM 제조업에 적용..."국내 최초· 연내 중국으로 확대"
- 물류로 확대하는 블록체인...삼성SDS 플랫폼, 해수부-관세청 등 시범사업 컨소시엄에 공급
- 수은, '동북아인프라개발협력포럼' 개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극대화 논의
- [노마드N] 한진해운 청산에 무게... 물건너 가는 동북아물류허브 구상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