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동차 업계 긴장 지속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당초 예정됐던 4월 2일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하지 않을 방침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교도통신은 23일 블룸버그통신을 인용해, 미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바탕으로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비록 발표는 연기됐지만, 미국 정부는 해당 계획을 철회하지 않고 여전히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일본 자동차 업계의 긴장감은 여전하다.
블룸버그통신은 또 미국이 추진 중인 '상호 관세' 제도에 대해, 대미 무역적자국은 면제를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무역 흑자국인 일본은 관세 면제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적인 부담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올해 2월, 수입 자동차에 최대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빠르면 4월 2일 세부 내용을 공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 조치가 시행되면, 현행 2.5%의 관세율이 약 10배 상승하게 되며, 이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일본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2023년 일본은 미국에 약 144만 대의 자동차를 수출했으며, 이는 전체 일본 자동차 수출량의 약 3분의 1에 해당한다. 미국은 일본 자동차 업계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추가 관세는 기업의 매출과 생산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더불어, 일본 제조업체들이 대미 수출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서도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추가 관세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비록 일정 기간 유예가 주어졌지만, 일본 업체들이 처한 대외 환경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외에도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의 분야에 대해 4월 2일 추가 관세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혀, 다른 산업군에 대한 즉각적인 충격은 피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본을 비롯한 주요 수출국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향후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기고] 영화 콘클라베가 탄핵정국에 주는 함의!
- [특별기고] 무너지는 백종원 신화.....“겸손이 답이다”
- 캄보디아 더충 국제공항, 개통 임박
- 트럼프, 베네수엘라산 에너지 수입국에 25% 관세 경고
- 싱가포르, 핵심 인플레이션 5개월 연속 하락
- 러시아, 몽골의 계란ㆍ치즈ㆍ밀ㆍ알코올 품목에 3.7-25% 세금 부과
-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글로벌 증시 충격 속 금값 사상 최고치 기록
- 세부퍼시픽, 아시아 최고 저가 항공사로 재선정
- 연구기관 예산 삭감한 트럼프 행정부, 과학자들 유럽행 고려
- 일본 제조업, 2년 만에 순이익 감소
- 일본 반도체 기업, 전력 반도체 투자 전략 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