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2년 최재춘 단장이 현 정부 (통일부)에 북한 접촉 허가를 신청한 것이 아니라 현 정부 (통일부)에서 최재춘 단장을 직접 불러 남북 공동태권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북한 접촉 허가를 해주었음
□ 2022년 6월 2일 불가리아 소피아를 방문하여 독일의 박수남 총재를 통해 북한의 리용선 ITF 총재와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나기로 약속함.
□ 2022년 7월 28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방문하여 김동기 대사를 만나 자문을 받음.
□ 2022년 7월 29일 접촉 허가를 받고 오스트리아 빈에서 북한의 리용선 ITF 총재를 만나 유네스코 등재하기로 양측 협의함.
□ 2023년 6월 16일 키틴뮤노즈 유네스코 친선대사 노력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친선대사 회의에서 15명 전원 남북 공동태권도 유네스코 등재를 만장일치로 찬성함.
□ 2023년 6월 16일 유네스코 친선대사 멕시코 문화 체육담당자께서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에게 긍정적인 답변을 직접 확인함.
□ 2023년 7월 20일 키틴뮤노즈 유네스코 친선대사 일행을 국기원 태권도 유네스코 추진단에서 등재를 위해 초청 방문함.
□ 2023년 12월 11일 북측의 ITF 리용선 총재와 최재춘 단장이 직접 통화하여 씨름의 선례로 유네스코 등재 신청을 하기로 최종결정함.
□ 2023년 12월 12일부터 통일부, 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국가유산청을 방문하여 등재 신청을 위한 경과보고를 함(긴급회의를 추진함.)
□ 2024년 불가리아 유네스코 추진단에서 북한의 차○○ 대사를 통해 문서를 평양으로 보냄.
□ 2024년 3월 북한은 씨름의 선례로 단독 신청함.
(남한도 같이 신청 했어야 함.)
□ 2024년 8월 7일 북한의 리용선 ITF 총재와 정순천 ITF 공보 부위원장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직접 만나 북한은 신청했으니 남한도 빨리 등재 신청을 하라고 전달받음.
□ 2025년 3월에 대한민국에서도 국기태권도를 유네스코 등재 신청해야 함. (남한과 북한의 경색으로 양측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는 현재 상황이 아님)
□ 공식문서는 없지만, 등재 신청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으로 비공식이지만 정부가 접촉 허가를 내줘서 양측의 대표가 직접 합의 하였으며 씨름의 선례를 받아드려 정부에서 특단의 조치로 신속하게 국가유산청을 통해 등재 신청을 추진해주어야 함.
관련기사
- [기고] 11월 정국 기상도, 궁서설묘 VS 수도거성
- 삼성전자 내년에도 '톱5'브랜드 지킬까?... '세계 최고직장 1위' 자리 내줘
- [비전 인사이트] 세계는 무역전쟁에서 나아가 '관세전쟁'으로 확대
- 마크롱, 파리 올림픽 유산 보존 주장
- 獨 불법 이민자 문제로 고심... 모든 육로 출입국 지점 통제를 실시
- 우석대학교 제20회 무주 월빙 태권도 축제 개최
- 문체부&한국관광공사 주관, '스포츠 관광 포럼' 개최
- 대한민국의 국기 태권도 유네스코 세계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촉구를 위한 성명서
- 프랑스 브랜디 업자들, EU의 중국 전기차 관세 부에 항의
- 세계어린이태권도연맹 부총재,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스포츠부 담당 부총리 예방, "어린이태권도와 케이팝 진출 협조" 요청
- 태권도바로세우기 사범회,경기도태권도협회 불법 회장선거 지적... "관리단체 지정 여부" 도마위에 올라
- 불가리아, 유로존 21번째 회원국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