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부동산에 지갑닫은 중국 경기침체에도 사치명품 성장세

중국 내수 경기 침체로 증시·부동산에 지갑닫은 중국이라는 표현이 나왔다.
중국인들의 식탁에 가장 중요한 돼지고기를 가격은 물론이고 식료품가격도 -5.9%로 두드러질정도로 춘제 앞두고도 소비가 얼어 붙었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명품 소비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중국이 가장 핫한 시장이라는 평가다.
2023년 중국인들의 글로벌 명품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7.0% 성장한 2조 7,232억 위안(3,773억달러)에 달했다.
중국의 명품 소비는 회복세를 보였고, 2024년에는 1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야오커(Yaok)연구원에서 발표한 '중국 명품 보고서’를 인용한 증권일보망 보도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명품 소비는 전년 대비 11% 성장한 6,077억 위안(약 842억달러)으로 글로벌 시장의 22%를 차지했고, 국내와 해외에서의 소비 비중이 각각 58%, 42%로 집계되었다.
한편 명품 브랜드의 중국 내 온라인 매출은 17% 성장한 2,754억 위안(약 382억달러)으로 온라인 매출 비중이 42%로 상승했으며, 향후 3~5년 사이 명품 온라인 매출 비중은 60% 이상에 달할 전망이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태국과 캄보디아,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무디스, 이스라엘 신용 등급 강등... A1에서 A2로 '한 단계 낮춰'
- 전기차 배터리 재료, 글로벌 경기 둔화로 니켈·리튬 가격 '대폭 하락'
- 영국 성인 4명 중 1명의 저축액이 500파운드 미만
- EU 대다수 국가, '2040년 최소 90%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안 동의
- [월드e] 몽골, 국회의장에 은행법 개정안 제출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총 GDP와 1인당 GDP에서 일본은 독일에 추월당해... "문제는 노동생산성이다"
- 중국 5월 소매판매 소폭 개선, 생산과 투자는 부진
- 세계 식료품 가격 18개월 만에 최고치…식물성 기름·설탕 가격 상승 주도
- LVMH, 3분기 매출 증가율 둔화...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은 17% 하락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