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필리핀의 전 세계 11번째 무역 상대국

필리핀 마간다통신에 따르면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는 필리핀과 베트남은 향후 양국 무역을 70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13조 3310억 원)로 확대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는 미개척 영역을 탐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31일 대통령궁에서 열린 회의에서 마르코스는 팜 민 친 베트남 총리에게 양국의 무역과 투자에 많은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필리핀은 베트남과의 경제, 무역, 투자 관계를 강화하고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의 목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자원을 탐색하여 현재 약 70억 달러에 불과한 양국 교역을 100억 달러로 확대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우리의 수출입 균형이 보다 공평한 비율로 전환되기를 바란다.”라고 그는 말했다.
베트남은 필리핀의 전 세계 11번째 무역 상대국이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에서는 5번째 무역 상대국이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필리핀이 지역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비준을 활용하여 베트남과의 무역 증가 추세를 유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상원은 필리핀 정부가 ASEAN과 그 파트너인 호주·중국·일본·뉴질랜드·한국 간의 최대 자유 무역 협정인 RCEP를 비준하는 데 동의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또한 2023년 3분기에 필리핀의 5.9% 경제 성장을 통해 필리핀이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중 하나가 되었다고 선전했다.
또한 그는 팜 민 친 베트남 총리에게 미국 신용 평가 기관인 Fitch Rating이 최소 투자 등급보다 한 단계 높은 필리핀의 'BBB' 등급을 확인하고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고 말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는 PPP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필리핀의 대규모 인프라 격차를 해소할 12월 민관 파트너십 규정 제정을 포함하여 구조적 경제 개혁을 실행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반영한다"라고 말했다.
2022년 필리핀과 베트남 간 총 교역액은 61억8000만 달러에 이르렀고, 수출은 17억2000만 달러, 수입은 44억6000만 달러에 달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이틀 간의 이곳 국빈 방문을 마치고 어제 오전 2시 47분에 마닐라에 도착했는데, 그는 이것이 "매우 생산적"이라고 묘사했다.
김민정 필리핀 통신원 ckn@nvp.co.kr
관련기사
- 주류 경제인들의 대거 참여로 성황리에 열린 미국 유타한인상공회의소 초대회장 취임식
- 브라질, 올해 가장 무더운 2월 맞게될지도... 최고기온 33~38도
- 프랑스, 실업률 변동없이 지속 전망
- [월드e] "몽골로 들어오는 투자액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 이른 설날, 누구보다 빠르게 ‘남이섬’ 설날 여행지로 결정했어요!
- 베트남, 미국에 농산물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
- [월드e] 몽골, 민간 부문 투자로 안정적 경제성장을 보장할 것
- [월드] 몽골로 관광객 유치 위해미국-몽골 관광 개발 협회 설립
- 뉴질랜드, 태국-필리핀 관계 격상
- 베트남, 2024년 1분기 460만 명의 국제 관광객을 유치
- 베트남 성장률, 아시아 6위
- 베트남 '반미', TasteqAtlas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샌드위치 100개 순위 1위 선정
- 결혼정보회사 가연, ‘배우자 음주・흡연’ 관련 조사 발표
- 베트남, 뉴질랜드의 전략적 수출시장으로 부상…과일 수출 확대에 주목
